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1)

논어주소(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7. 子曰
誨女知之乎ㄴ저
[注]孔曰 弟子이니 姓仲이요 名由 字子路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니라
[疏]‘子曰’至‘知也’
○正義曰:此章明知也.
‘由 誨汝知之乎’者, 孔子以子路性剛, 好以不知爲知,
故此抑之.
呼其名曰 “由,
我今敎誨汝爲知之乎.” 此皆語辭.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者, 此誨辭也.
言汝實知之事, 則爲知之, 實不知之事, 則爲不知, 此是眞知也. 若其知之, 反隱曰不知, 及不知妄言我知, 皆非知也.
[疏]○注 ‘孔曰’至‘子路’
○正義曰:史記弟子傳云 “仲由, 字子路, 卞人也,
少孔子九歲.
子路性鄙, 好勇力, 志抗直.
冠雄鷄, 佩豭豚, 陵暴孔子.
孔子設禮, 稍誘子路, 子路後儒服委質, 因門人請爲弟子.”


께서 말씀하셨다.
야!
너에게 앎을 가르쳐주겠다.
공왈孔曰:제자이니, 성은 이고 이름은 이며, 자는 자로子路이다.
아는 것은 안다고 하고 알지 못하는 것은 알지 못한다고 하는 것이 참으로 아는 것이다.”
의 [子曰]에서 [知也]까지
○正義曰:이 장은 앎을 밝힌 것이다.
[由 誨汝知之乎] 공자孔子께서는 자로子路가 성질이 강하여 알지 못하는 것을 안다고 우기기를 좋아한다고 여기셨다.
그러므로 그를 억제하신 것이다.
그의 이름을 부르시면서 “야!
내 이제 너에게 앎에 대해 가르쳐주겠다.”고 하신 것은 모두 어사語辭(본론을 말하기에 앞서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하신 말씀)이다.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 이것은 회사誨辭(가르치신 말씀)이다.
‘네가 실제로 아는 일이면 안다고 하고 실제로 알지 못하는 일이면 알지 못한다고 하면 이것은 참으로 아는 것이지만, 만약 네가 알면서도 도리어 숨겨 알지 못한다고 하거나 알지 못하는 것을 함부로 나는 안다고 말하면 이는 모두 참으로 아는 것이 아니다.’라는 말이다.
의 [孔曰]에서 [子路]까지
○正義曰:《사기史記》 〈중니제자열전仲尼弟子列傳〉에 “중유仲由는 자가 자로子路이고, 변읍卞邑 사람이다.
공자孔子보다 아홉 살이 적다.
자로는 성질이 거칠고 촌스러워 용력勇力을 좋아하고 뜻이 강직剛直하였다.
수탉의 깃을 꽂은 모자를 쓰고, 수퇘지 가죽으로 장식한 을 차고 다니면서 공자를 무시하고 모욕하였다.
이에 공자께서 예의를 진술하여 자로를 조금씩 교유敎誘하니, 자로는 뒤에 유자儒者의 옷을 입고 예물을 가지고 와서 문인을 통하여 제자가 되기를 청하였다.”고 하였다.



논어주소(1) 책은 2021.08.0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