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子曰
泰伯 其可謂至德也已矣로다
三以天下讓호되 民無得而稱焉이온여
[注]王曰 泰伯 周太王之長子
次弟仲雍이요 少弟季歷이라
季歷賢하고 又生聖子文王昌하니 昌必有天下
故泰伯以天下三讓於王季하니라
其讓隱이라 故無得而稱言之者
所以爲至德也
[疏]‘子曰 泰伯 其可謂至德也已矣 三以天下讓 民無得而稱焉’
○正義曰 : 此章論泰伯讓位之德也.
泰伯, 周太王之長子.
次弟仲雍, 少弟季歷.
季歷賢, 又生聖子文王昌, 昌必有天下,
故泰伯三以天下讓於王季.
其讓隱, 故民無得而稱言之者,
故所以爲至德而孔子美之也.
鄭玄注云 “泰伯, 周太王之長子.
次子仲雍, 次子季歷.
太王見季歷賢, 又生文王, 有聖人表,
故欲立之而未有命.
太王疾, 太伯因適吳越採藥, 太王歿而不返, 季歷爲喪主, 一讓也. 季歷赴之, 不來奔喪, 二讓也. 免喪之後, 遂斷髮文身, 三讓也.
三讓之美, 皆隱蔽不著, 故人無得而稱焉.”
[疏]○注 ‘王曰’至‘至德也’
○正義曰 : 云‘泰伯 周太王之長子云云’者, 史記吳世家云 “泰伯‧弟仲雍, 皆周太王之子, 而王季歷之兄也.
季歷賢而有聖子昌, 太王欲立季歷以及昌.
於是泰伯‧仲雍二人, 乃奔荊蠻, 文身斷髮, 示不可用, 以辟季歷.
季歷果立, 是爲王季, 而昌爲文王.
泰伯之奔荊蠻, 自號句吳.
荊蠻義之, 從而歸之千餘家, 立爲吳泰伯.
泰伯卒, 無子, 弟仲雍立, 是爲吳仲雍.
仲雍卒, 子季簡立. 季簡卒, 子叔達立. 叔達卒, 子周章立.
是時周武王克殷, 求太伯‧仲雍之後, 得周章. 周章已君吳,
因而封之. 乃封周章弟虞仲於周之北故夏墟, 是爲虞仲, 列爲諸侯.” 是泰伯讓位之事也.


께서 말씀하셨다.
태백泰伯은 ‘지극한 ’이라고 이를 만하다.
세 번 천하를 사양하였으나, 백성들이 그 을 칭송할 수 없었다.”
왕왈王曰 : 태백泰伯나라 태왕太王장자長子이다.
차자次子중옹仲雍이고, 계자季子계력季歷이다.
계력季歷이 현명한 데다 또 성자聖子문왕文王 을 낳으니, 〈태왕太王은〉 이 반드시 천하天下를 갖게 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태백泰伯왕계王季(季歷)에게 천하天下를 세 번 사양한 것이다.
그러나 그 사양한 것이 은미隱微해 드러나지 않았으므로 그를 칭송할 수 있는 자취가 없었다.
그러므로 ‘지극한 ’이 된 것이다.
의 [子曰 泰伯其可謂至德也已矣 三以天下讓 民無得而稱焉]
정의왈正義曰 : 이 태백泰伯이 왕위를 사양한 을 논한 것이다.
태백泰伯나라 태왕太王의 장자이다.
차자는 중옹仲雍이고, 계자는 계력季歷이다.
계력季歷이 현명한 데다 또 성자聖子문왕文王 을 낳으니, 〈태왕太王은〉 이 반드시 천하天下를 갖게 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태백泰伯왕계王季에게 천하天下를 세 번 사양한 것이다.
그러나 그 사양한 것이 숨겨져 드러나지 않았으므로 백성들이 그를 칭송할 수 있는 자취가 없었다.
그러므로 이를 ‘지극한 ’으로 여겨 공자孔子께서 칭송하신 것이다.
정현鄭玄에 “태백泰伯나라 태왕太王의 장자이다.
차자는 중옹仲雍이고 계자는 계력季歷이다.
태왕太王이 보기에 계력季歷은 현명한 데다 또 아들 문왕文王을 낳으니 〈문왕文王이〉 성인聖人의표儀表가 있었다.
그러므로 계력季歷세자世子로 세우려 하였으나, 을 내리지는 않았다.
태왕太王이 병이 나자 태백太伯(泰伯)이 〈아버지의 병으로〉 인해 지방으로 가서 약초藥草를 캐다가 태왕太王이 죽자 돌아오지 않고 계력季歷상주喪主가 되게 하였으니, 이것이 첫 번째 사양한 것이고, 계력季歷부고訃告를 보냈으나 분상奔喪(먼 곳에서 부모의 부음을 듣고 급히 집으로 돌아옴)하지 않았으니, 이것이 두 번째 사양한 것이고, 탈상脫喪한 뒤에는 마침내 머리를 깎고 문신文身하였으니, 이것이 세 번째 사양한 것이다.
세 번 사양한 미덕美德이 모두 숨겨지고 드러나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이 그를 칭송할 수 없었던 것이다.”라고 하였다.
의 [王曰]에서 [至德也]까지
정의왈正義曰 : [泰伯 周太王之長子……] 《사기史記》 〈오세가吳世家〉에 “태백泰伯과 그 아우 중옹仲雍은 모두 나라 태왕太王의 아들로 계력季歷의 형이다.
계력季歷이 현명한 데다 또 성자聖子 을 낳으니, 태왕太王계력季歷세자世子로 세워 에게 왕위王位가 미쳐가게 하고자 하였다.
〈아버지의 뜻을 안〉 태백泰伯중옹仲雍 두 사람은 형만荊蠻으로 도망가서 문신文身을 하고 머리를 깎아 임금으로 쓰일 수 없음을 보여 계력季歷에게 피양避讓(사양)하였다.
계력季歷이 과연 군위君位를 승계하여 임금이 되니 이가 왕계王季이고, 뒤에 이 승계하여 임금이 되니 이가 문왕文王이다.
태백泰伯형만荊蠻으로 도망간 뒤에 스스로 〈국명國名을〉 ‘구오句吳’라고 호칭하였다.
그를 롭게 여겨 귀의한 형만荊蠻 사람 천여千餘 가 그를 임금으로 옹립擁立하고서 오태백吳泰伯이라 하였다.
태백泰伯이 자식 없이 죽자 아우 중옹仲雍이 즉위하였으니, 이가 오중옹吳仲雍이다.
중옹仲雍이 죽자 아들 계간季簡이 즉위하였고, 계간季簡이 죽자 아들 숙달叔達이 즉위하였으며, 숙달叔達이 죽자 아들 주장周章이 즉위하였다.
이때 나라 무왕武王나라를 격멸擊滅하고 태백太伯(泰伯)과 중옹仲雍의 후손을 수소문해 주장周章을 찾았는데, 주장周章은 이미 나라의 임금이 되어있었다.
그러므로 그대로 그를 나라에 해주고, 주장周章의 아우 우중虞仲나라 북쪽 옛 나라 유허遺墟에 봉하였으니, 이가 우중虞仲으로 지위地位제후諸侯반열班列에 올랐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이 태백泰伯군위君位를 사양한 일이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