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 子曰
恭而無禮則勞하고 愼而無禮則葸하고
[注]葸 畏懼之貌 言愼而不以禮節之 則常畏懼
勇而無禮則亂하고 直而無禮則絞니라
[注]馬曰 絞 絞刺也
君子篤於親則民興於仁하고 故舊不遺則民不偸니라
[注]包曰 興 起也
君能厚於親屬하고 不遺忘其故舊 行之美者 則民皆化之하야 起爲仁厚之行하고 不偸薄이라
[疏]‘子曰’至‘不偸’
○正義曰 : 此章貴禮也.
‘子曰 恭而無禮則勞’者, 勞謂困苦. 言人爲恭孫, 而無禮以節之, 則自困苦.
‘愼而無禮則葸’者, 葸畏懼之貌. 言愼而不以禮節之, 則常畏懼也.
‘勇而無禮則亂’者, 亂謂逆惡. 言人勇而不以禮節之, 則爲亂矣.
‘直而無禮則絞’者, 正曲爲直, 絞謂絞刺也. 言人而爲直, 不以禮節, 則絞刺人之非也.
‘君子篤於親則民興於仁 故舊不遺則民不偸’者, 君子, 人君也. 篤, 厚也. 興, 起也. 偸, 薄也.
言君能厚於親屬, 則民化之, 起爲仁行, 相親友也. 君不遺忘其故舊, 故民德歸厚, 不偸薄也.


께서 말씀하셨다.
“공손하되 예가 없으면 수고롭고, 신중하되 예가 없으면 두려워하게 되고,
는 두려워하는 모습이니, 신중愼重하되 로써 절제節制하지 않으면 항상 두려워하게 된다는 말이다.
용감하되 예가 없으면 을 일으키고, 강직하되 예가 없으면 야박해진다.
마왈馬曰 : 는 남의 잘못을 야박하게 비난함이다.
군자君子친속親屬하게 대우하면 백성들이 흥기興起하고, 벗을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이 경박輕薄해지지 않는다.”
포왈包曰 : (떨쳐 일어남)이다.
임금이 친속親屬후대厚待하고 벗을 버리지 않는 것은 아름다운 행실이니, 〈임금이 이렇게 하면〉 백성들이 모두 감화感化되어 떨쳐 일어나 인후仁厚한 행실을 하고, 경박해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의 [子曰]에서 [不偸]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장은 를 귀하게 여긴 것이다.
[子曰 恭而無禮則勞] 는 고달프고 괴로움을 이르니, 사람이 공손恭遜하되 로써 절제節制함이 없으면 스스로 고달프고 괴롭다는 말이다.
[愼而無禮則葸] 는 두려워하는 모양이니, 신중愼重하되 로써 절제節制하지 않으면 항상 두려워하게 된다는 말이다.
[勇而無禮則亂] 패역悖逆흉악凶惡을 이르니, 사람이 용감하되 로써 절제節制하지 않으면 을 일으킨다는 말이다.
[直而無禮則絞] 〈남의〉 잘못을 바로잡는 것이 이고, 는 야박하게 비난함을 이르니, 남의 잘못을 바로잡되 로써 절제하지 않으면 남의 잘못을 야박하게 비난하게 된다는 말이다.
[君子篤於親則民興於仁 故舊不遺則民不偸] 군자君子인군人君(임금)이고, 이고, 이고, (경박)이다.
이것은 임금이 친속親屬하게 대우하면 백성이 감화되어 떨쳐 일어나서 인후仁厚한 행실을 하고 서로 친애親愛할 것이며, 임금이 벗을 버리지 않기 때문에 백성의 돈후敦厚한 데로 돌아가 경박해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