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1)

논어주소(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8. 子曰
事父母幾諫이니
[注]包曰 幾者 微也 當微諫하야 納善言於父母
見志不從이어든 又敬不違하며 勞而不怨이니라
[注]包曰 見志 見父母志有不從己諫之色이라
則又當恭敬이요 不敢違父母意而이라
[疏]‘子曰’至‘不怨’
○正義曰:此幷下四章, 皆明孝事父母.
‘幾諫’者, 幾, 微也, 父母有過, 當微納善言以諫於父母也.
‘見志不從 又敬不違’者, 見父母志有不從己諫之色, 則又當恭敬, 不敢違父母意而遂己之諫也.
‘勞而不怨’者, 父母使己以勞辱之事, 己當盡力服其勤, 不得怨父母也.


께서 말씀하셨다.
“부모를 섬김에는 은미하게 하여야 하니,
포왈包曰:이니 은미하게 간하여 착한 말을 부모에게 올려야 한다는 말이다.
부모의 뜻이 나의 간언諫言을 따르려 하지 않는 것을 보면 더욱 공경하여 부모의 뜻을 어기지 말고, 수고로워도 원망하지 말아야 한다.”
포왈包曰:견지見志는 부모님의 뜻에 나의 간언諫言을 따르려 하지 않는 기색이 있음을 봄이다.
그러면 더욱 공경해야 하고, 감히 부모의 뜻을 어기고서 하여서는 안 된다.
의 [子曰]에서 [不怨]까지
○正義曰:이 장은 아래의 네 장과 함께 모두 부모를 효성으로 섬겨야 함을 밝힌 것이다.
[幾諫] 이니, 부모에게 허물이 있으면 은미隱微하게 착한 말을 올려 부모께 간하여야 한다는 말이다.
[見志不從 又敬不違] 부모의 뜻에 나의 간언諫言을 따르려 하지 않는 기색이 있는 것을 보면 더욱 공경해야 하고, 감히 부모의 뜻을 어기고서 간하여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勞而不怨] 부모가 나에게 괴로운 일을 시키더라도 나는 힘을 다해 부지런히 그 일을 하고 부모를 원망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역주
역주1 遂己之諫 : 나의 諫하는 일을 遂行(실행)함이니, 곧 諫하는 것이다.

논어주소(1) 책은 2021.08.0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