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0. 子貢問曰
何如라야 斯可謂之士矣리잇고
子曰
行己有恥하며
[注]孔曰 有恥者 有所不爲
使於四方 不辱君命이면 可謂士矣니라
敢問其次하노이다
宗族 稱孝焉하며 鄕黨 稱弟焉이니라
敢問其次하노이다
言必信하며 行必果 硜硜然小人哉 抑亦可以爲次矣니라
[注]鄭曰 行必果 所欲行必果敢爲之
硜硜者 小人之貌也
抑亦其次 言可以爲次
今之從政者 何如하니잇고
子曰
何足算也리오
[注]鄭曰 噫 心不平之聲이라
竹器 容斗二升이라
數也
[疏]‘子貢’至‘算也’
○正義曰 : 此章明士行也.
‘子貢問曰 何如 斯可謂之士矣’者, 士, 有德之稱.
故子貢問於孔子曰 “其行如何, 斯可謂之士矣”
‘子曰 行己有恥 使於四方 不辱君命 可謂士矣’者, 此答士之高行也.
言行己之道, 若有不善, 恥而不爲, 爲臣奉命出使, 能遭時制宜, 不辱君命. 有此二行, 可謂士矣.
‘曰 敢問其次’者, 子貢復問士之爲行次二者云何.
‘曰 宗族稱孝焉 鄕黨稱弟焉’, 此孔子復爲言其士行之次也.
宗族, 同宗族屬也.
善事父母爲孝, 宗族內親, 見其孝而稱之.
善事長上爲弟, 鄕黨差遠, 見其弟而稱之也.
‘曰 敢問其次’者, 子貢又問更有何行可次於此也.
‘曰 言必信 行必果 硜硜然小人哉 抑亦可以爲次矣’者, 孔子又爲言其次也.
若人不能信以行義, 而言必執信. 行不能相時度宜, 所欲行者, 必果敢爲之. 硜硜然者, 小人之貌也.
言此二行, 雖非君子所爲, 乃硜硜然小人耳. 抑, 辭也.
抑亦其次, 言可以爲次也.
‘曰 今之從政者何如’者, 子貢復問今之從政之士其行何如也.
‘子曰 噫 斗筲之人 何足算也’者, 噫, 心不平之聲.
斗, 量名, 容十升.
筲, 竹器, 容斗二升.
算, 數也.
孔子時見從政者, 皆無士行, 唯小器耳,
故心不平之, 而曰 “噫,
今斗筲小器之人, 何足數也” 言不足數,
故不述其行.


자공子貢이 물었다.
“〈그 행실이〉 어떠하여야 선비라고 이를 수 있습니까?”
께서 말씀하셨다.
“자기의 행동에 부끄러움을 가지며,
공왈孔曰 : 부끄러움을 갖는 자는 하지 않는 바가 있다.
사방에 사신使臣으로 가서 임금의 명을 욕되게 하지 않으면 선비라고 이를 수 있을 것이다.”
자공子貢이〉 말하였다.
“감히 그 다음을 묻습니다.”
께서 말씀하셨다.
종족宗族이 효성스럽다고 칭찬하고 향당鄕黨이 공경스럽다고 칭찬하는 것이다.”
자공子貢이〉 말하였다.
“감히 그 다음을 묻습니다.”
께서 말씀하셨다.
“말을 반드시 신실信實하게 하고, 행동을 반드시 과감果敢하게 하는 것은 고집스러운 소인小人이지만 그래도 그 다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정왈鄭曰 : 행필과行必果는 행하고자 하는 바를 반드시 과감하게 행하는 것이다.
갱갱硜硜소인小人의 모양이다.
억역기차抑亦其次는 그 다음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자공子貢이〉 말하였다.
“지금 정사政事종사從事하는 자들은 어떻습니까?”
께서 말씀하셨다.
“아! 기국器局식견識見협소狹小한 사람들을 어찌 꼽을 가치가 있겠느냐?”
정왈鄭曰 : 는 마음이 〈불만스러워〉 불평하는 소리이다.
는 대그릇이니 1 2을 수용한다.
은 셈(순서를 매겨 꼽음)이다.
의 [子貢]에서 [算也]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은 선비의 행실을 밝힌 것이다.
[子貢問曰 何如 斯可謂之士矣] 선비는 유덕자有德者호칭呼稱이다.
그러므로 자공子貢공자孔子께 “그 행실이 어떠하여야 선비라고 이를 수 있습니까?”라고 물은 것이다.
[子曰 行己有恥 使於四方 不辱君命 可謂士矣] 이것은 선비의 고상한 행실로써 답하신 것이다.
처신하는 도에 착하지 못한 점이 있으면 수치로 여겨 행하지 않고, 신하가 되어 임금의 명을 받들어 사신使臣으로 나아가서 때에 따라 알맞게 대처하여 임금의 명을 욕되게 하지 않는, 이러한 두 가지 행실이 있으면 선비라고 이를 수 있다는 말이다.
[曰 敢問其次] 자공子貢이 다시 “이 두 가지의 다음이 되는 선비의 행실은 어떤 것이냐?”고 물은 것이다.
[曰 宗族稱孝焉 鄕黨稱弟焉] 이것은 공자孔子께서 다시 자공子貢을 위해 그 다음이 되는 선비의 행실을 말씀해주신 것이다.
종족宗族동종同宗족속族屬이다.
부모를 잘 섬기는 것이 이니, 내친內親(姓이 같은 친족親族)인 종족宗族이 그의 를 보고서 칭찬함이다.
장상長上(尊長)을 잘 섬기는 것이 이니, 조금 먼 향당鄕黨이 그의 를 보고서 칭찬함이다.
[曰 敢問其次] 자공子貢이 또다시 어떤 행실이 있어야 그 다음이 될 수 있느냐?’고 물은 것이다.
[曰 言必信 行必果 硜硜然小人哉 抑亦可以爲次矣] 공자孔子께서 또 자공子貢을 위해 그 다음을 말씀해주신 것이다.
〈‘언필신言必信 행필과行必果’는〉 ‘만약 사람이 〈를〉 믿어 를 행하지는 못하나 말을 반드시 신실信實하게 하기를 고집하고, 시기時期를 살펴 알맞게 행사行事하지는 못하나 행하고자 하는 일을 반드시 과감하게 행한다면’〈이라는 말이다.〉 갱갱연硜硜然소인小人의 모양이다.
갱갱연소인재硜硜然小人哉’는 ‘이 두 가지 행실은 비록 군자君子가 할 바가 아니므로 곧 고집스러운 소인小人일 뿐이지만’〈이라는 말이다.〉 어사語辭이다.
억역기차抑亦其次’는 다음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曰 今之從政者何如] 자공子貢이 다시 “오늘날 정치에 종사하는 선비들의 행실은 어떠하냐?”고 물은 것이다.
[子曰 噫 斗筲之人 何足算也] 는 마음이 〈불만스러워〉 불평하는 소리이다.
양구量具의 이름인데 10을 수용한다.
죽기竹器인데 1 2을 수용한다.
은 셈이다.
공자孔子께서 당시에 정치에 종사하는 자들은 모두 선비의 조행操行이 없는 그릇이 작은 자들일 뿐임을 보셨다.
그러므로 마음이 불평스러워 “아!
오늘날 한 말이나 한 말 두 되 들이의 기량器量이 작은 사람들을 어찌 꼽을 가치가 있겠느냐?”라고 하셨으니, 꼽을 가치가 없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그 행실을 진술陳述하지 않으신 것이다.


역주
역주1 斗筲之人 : 斗는 10升을, 筲는 1斗 2升을 수용하는 작은 量具이니, 識見이 얕고 器量이 좁은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역주2 (此於)[於此] : 저본에는 ‘此於’로 되어있으나, 阮刻本에 “浦鏜이 이르기를 ‘於此가 잘못하여 도치된 것이다.’ 하였다.”라고 한 것에 근거하여 ‘於此’로 바로잡았다.
역주3 [者] : 저본에는 없으나, 文例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