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 司馬牛問仁한대 子曰
仁者 其言也訒이니라
[注]孔曰 訒 難也
宋人이니 弟子司馬犂
其言也訒이면 斯謂之仁已乎잇가
子曰
爲之難하니 言之得無訒乎
[注]曰 行仁難하니 言仁亦不得不難이라
[疏]‘司馬牛問仁’至‘訒乎’
○正義曰 : 此章言仁之難也.
‘子曰 仁者 其言也訒’者, 訒, 難也.
言仁道至大, 非但行之難也, 其言之亦難.
‘曰 其言也訒 斯謂之仁已乎’者, 牛意嫌孔子所言未盡其理,
故復問曰 “秪此其言也訒, 便謂仁已乎.”
‘子曰 爲之難 言之得無訒乎’者, 此孔子又爲牛說言訒之意,
行仁旣難, 言仁亦不得不難.
[疏]○注 ‘孔曰’至‘馬犂’
○正義曰 : 史記弟子傳云 “司馬耕字子牛.
多言而躁.
問仁於孔子, 孔子曰 ‘仁者, 其言也訒.’”
是也.


사마우司馬牛을 묻자, 께서 말씀하셨다.
인자仁者는 말하기를 어려워한다.”
공왈孔曰 : 은 어려워함이다.
나라 사람으로 제자弟子 사마리司馬犂이다.
사마우司馬牛가〉 말하였다.
“말하기를 어려워하면 이를 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
께서 말씀하셨다.
은 행하기 어려우니, 말을 어찌 어렵게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공왈孔曰 : 을 행하기 어려우니, 을 말하는 것 또한 어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
의 [司馬牛問仁]에서 [訒乎]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장은 을 하기가 어려움을 말한 것이다.
[子曰 仁者 其言也訒] 은 어려워함이다.
가 지극히 커서 행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말하기도 어렵다는 말이다.
[曰 其言也訒 斯謂之仁已乎] 사마우司馬牛의 생각에는 공자孔子의 말씀이 그 이유를 다 말하지 않은 것으로 의심하였다.
그러므로 다시 “단지 말하기를 어려워하기만 하여도 바로 그것을 이라고 이를 수 있습니까?”라고 물은 것이다.
[子曰 爲之難 言之得無訒乎] 이것은 공자孔子께서 또 사마우司馬牛를 위해 ‘말하기를 어려워하는 뜻’을 말씀해주신 것이다.
을 행하는 것이 이미 어려우니, 을 말하는 것도 어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는 말이다.
의 [孔曰]에서 [馬犂]까지
정의왈正義曰 : 《사기史記》 〈중니제자열전仲尼弟子列傳〉에 “사마경司馬耕자우子牛이다.
말이 많고 조급하였다.
공자孔子을 물으니, 공자孔子께서 ‘인자仁者는 말하기를 어려워한다.’라고 하셨다.”라고 하였다.
그가 바로 여기에 말한 사마우司馬牛이다.


역주
역주1 (子)[孔] : 저본에는 ‘子’로 되어있으나 阮刻本에 “子는 마땅히 孔이 되어야 한다.”라고 한 것에 의거해 ‘孔’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 (子) : 저본에는 이 글자가 있으나, 이 章 처음의 注에 근거하여 衍字로 처리하였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