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 樊遲請學稼한대 子曰
吾不如老農호라
請學爲圃한대
吾不如老圃호라
[注]馬曰 樹五穀曰稼 樹菜蔬曰圃
樊遲出커늘 子曰
小人哉 樊須也
上好禮 則民莫敢不敬하며 上好義 則民莫敢不服하며 上好信이면 則民莫敢不用情이니
[注]孔曰 情 情實也
言民化於上하야 各以實應이라
夫如是 則四方之民 襁負其子而至矣리니 焉用稼리오
[注]包曰 禮義與信 足以成德이면 何用學稼以敎民乎
器曰襁이라
[疏]‘樊遲’至‘用稼’
○正義曰 : 此章言禮義忠信爲治民之要.
‘樊遲請學稼’者, 樹五穀曰稼.
弟子樊須於夫子, 學播種之法, 欲以敎民也.
‘子曰 吾不如老農’者, 孔子其不學禮義而學稼種,
故拒之曰 “稼種之事, 吾不如久老之農夫也”
‘請學爲圃’者, 樹菜蔬曰圃.
樊遲又請於夫子, 學樹藝菜蔬之法.
‘曰 吾不如老圃’者, 亦拒其請也, 言“樹藝菜蔬之法, 吾不如久老爲圃者”
‘樊遲出 子曰 小人哉樊須也’者, 樊遲旣請而出, 夫子與諸弟子言曰 “小人哉,
此樊須也” 謂其不學禮義而學農圃, 故曰小人也.
‘上好禮 則民莫敢不敬 上好義 則民莫敢不服 上好信 則民莫敢不用情’者, 孔子遂言禮義與信可以敎民也.
禮毋不敬, 故上好行禮, 則民化之, 莫敢不敬也.
人聞義則服, 故上好行義, 則民莫敢不服也.
以信待物, 物亦以實應之,
故上若好信, 則民莫不用其情.
情, 猶情實也. 言民於上, 各以實應也.
‘夫如是 則四方之民襁負其子而至矣 焉用稼’者, 此又言夫禮義與信足以成德化民,
如是則四方之民, 感化自來, 皆以襁器背負其子而至矣, 何用學稼以敎民乎.
[疏]○注 ‘樹五穀曰稼 樹菜蔬曰圃’
○正義曰 : 樹者, 種殖之名.
五穀者, 黍稷麻麥豆也.
周禮注云 “種穀曰稼, 如嫁女以有所生也”
周禮大宰職云 “園圃, 毓草木” 注云 “樹果蓏曰圃.
園, 其樊也.”
然則園者, 外畔藩蘺之名. 其內之地, 種樹菜果, 則謂之圃,
蔬則菜也.
周禮注云 “百草根實可食者”
云 “蔬不熟爲饉” 郭璞曰 “凡草菜可食者, 通名爲蔬”
[疏]○注 ‘負(者以)[子之]器曰襁’
○正義曰 : 博物志云 “織縷之, , 以約小兒於背.”


번지樊遲오곡五穀 가꾸는 일 배우기를 청하자, 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늙은 농부만 못하다.”
채소菜蔬 가꾸는 일 배우기를 청하자, 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늙은 채농菜農만 못하다.”
마왈馬曰 : 오곡五穀을 심어 가꾸는 것을 ‘’라 하고, 채소菜蔬를 심어 가꾸는 것을 ‘’라 한다.
번지樊遲가 나가자, 께서 말씀하셨다.
소인小人이로구나 번수樊須여!
군상君上를 좋아하면 감히 공경하지 않는 백성이 없고, 군상이 를 좋아하면 감히 복종하지 않는 백성이 없고, 군상이 을 좋아하면 감히 진정眞情으로 응대하지 않는 백성이 없으니,
공왈孔曰 : 정실情實(眞情)이다.
백성들이 윗사람의 〈교화敎化에〉 감화感化되어 각각 정실로써 응대한다는 말이다.
이와 같으면 사방의 백성들이 그 자식을 포대기에 싸서 업고서 이를 것이니, 농사지을 필요가 뭐 있겠는가?”
포왈包曰 : 〈을 좋아하는 것이〉 을 이루기에 충분하다면 농사짓는 일을 배워서 백성들을 가르칠 필요가 뭐 있겠는가?
아이를 업을 때 쓰는 기구器具를 ‘’이라 한다.
의 [樊遲]에서 [用稼]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예의禮義충신忠信이 백성을 다스리는 요도要道임을 말한 것이다.
[樊遲請學稼] 오곡五穀을 심어 가꾸는 것을 ‘’라 한다.
제자弟子 번수樊須부자夫子께 청하여 파종播種하는 법을 배우려 한 것은 백성들을 가르치고자 한 것이다.
[子曰 吾不如老農] 공자孔子는 그가 예의禮義는 배우지 않고 가종稼種(씨앗을 뿌려 가꿈)만을 배울까 두려워하셨다.
그러므로 “씨앗을 뿌려 가꾸는 일은 내가 늙은 농부만 못하다.”라고 거절하신 것이다.
[請學爲圃] 채소菜蔬를 심어 가꾸는 것을 ‘’라 한다.
번지樊遲가 또 부자夫子채소菜蔬를 심어 가꾸는 법을 배우기를 청한 것이다.
[曰 吾不如老圃] 이 또한 그의 청을 거절하신 것이니, “채소菜蔬를 심어 가꾸는 법은 내가 늙은 채농菜農만 못하다.”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樊遲出 子曰 小人哉 樊須也] 번지樊遲가 청하고서 나가자, 부자夫子께서 여러 제자들과 말씀하시기를 “소인小人이로구나.
번수樊須여!”라고 하셨으니, 그가 예의禮義는 배우지 않고 농포農圃(農田과 채포菜圃)를 배우고자 하였기 때문에 ‘소인小人’이라 하신 것이다.
[上好禮 則民莫敢不敬 上好義 則民莫敢不服 上好信 則民莫敢不用情] 공자孔子께서 드디어 으로 백성을 교화敎化할 수 있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는 공경하지 않음이 없기 때문에 군상君上를 행하기를 좋아하면 백성들이 감화感化되어 감히 공경하지 않는 이가 없다.
사람들이 를 들으면 복종하기 때문에 군상君上를 행하기를 좋아하면 백성들이 감화되어 복종하지 않는 이가 없다.
성신誠信으로 상대를 대하면 상대도 진실함으로써 응대한다.
그러므로 군상君上을 좋아하면 백성들이 진정으로 응대하지 않는 이가 없다.
정실情實(眞情)과 같으니, 백성들이 그 윗사람에게 각각 진정으로 응대한다는 말이다.
[夫如是 則四方之民 襁負其子而至矣 焉用稼] 이것은 또 을 이루고 백성을 교화하기에 충분하다는 말이다.
“이와 같이 하면 사방의 백성들이 감화感化되어 제 발로 찾아와 모두 그 자식을 포대기에 싸서 업고서 이를 것이니, 농사짓는 법을 배워서 백성들을 가르칠 필요가 뭐 있겠느냐?”고 말한 것이다.
의 [樹五穀曰稼 樹菜蔬曰圃]
정의왈正義曰 : 는 씨앗을 뿌려 가꿈을 이르는 명칭이다.
오곡五穀(찰기장)‧(메기장)‧(참깨)‧(보리)‧(콩)이다.
정현鄭玄의 《주례주周禮注》에 “곡식을 심어 가꾸는 것을 ‘’라 하니, 딸을 시집보내어 생산生産함이 있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주례周禮》 〈천관天官 대재직大宰職〉에 “원포園圃에는 초목草木(瓜‧)을 기른다.”라고 하였는데, 그 에 “(열매가 달리는 나무)와 (열매가 달리는 풀)를 심는 곳을 라 한다.
은 그 울타리이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은 가장자리에 친 울타리를 이르는 이름이고, 울타리 안의 채소菜蔬과실果實을 심는 곳이 ‘’이다.
이다.
정현鄭玄의 《주례주周禮注》에 “백초百草 중에 뿌리와 열매를 식용食用할 수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아爾雅》 〈석천釋天〉에 “채소菜蔬흉작凶作[不熟]인 것을 이라 한다.”라고 한 에, 곽박郭璞이 말하기를 “식용할 수 있는 모든 푸성귀를 통틀어 라 한다.”라고 하였다.
의 [負子之器曰襁]
정의왈正義曰 : 《박물지博物志》에 “〈은〉 베를 짜서 너비 8촌, 길이 2척으로 만들어 어린아이를 등에 묶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者以)[子之] : 저본에는 ‘者以’로 되어있으나, 阮刻本에 “살펴보건대 《史記集解》 〈仲尼弟子列傳〉에 인용한 包咸의 注에는 ‘負子之器曰襁’으로 되어있다.”라고 한 것에 근거하여 ‘子之’로 바로잡았다.
역주2 (謂)[請] : 저본에는 ‘謂’로 되어있으나, 阮刻本에 “살펴보건대 ‘謂’는 마땅히 ‘請’이 되어야 한다.”라고 한 것에 근거하여 ‘請’으로 바로잡았다.
역주3 (怒)[恐] : 저본에는 ‘怒’로 되어있으나, 阮刻本에 “閩本‧北監本‧毛本에는 ‘怒’가 ‘恐’으로 되어있다.”라고 한 것에 근거하여 ‘恐’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 (云)[元] : 저본에는 ‘云’으로 되어있으나, 阮刻本에 “‘云’은 마땅히 ‘元’이 되어야 한다. 各本에 모두 잘못되어 있다.”라고 한 것에 근거하여 ‘元’으로 바로잡았다. 鄭元은 淸聖祖 康熙皇帝의 이름이 玄燁이므로 鄭玄의 ‘玄’을 忌諱한 이름이다.
역주5 (文)[天] : 저본에는 ‘文’으로 되어있으나, 阮刻本에 “‘文’은 마땅히 ‘天’이 되어야 한다. 各本에 모두 잘못되어 있다.”라고 한 것에 근거하여 ‘天’으로 바로잡았다.
역주6 (廣八尺長丈二)[廣八寸長二尺] : 저본에는 ‘廣八尺長丈二’로 되어있으나, 《論語正義》와 《玉篇》 〈衣部〉 ‘襁’조에 근거하여 ‘廣八寸長二尺’으로 바로잡았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