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2. 樊遲問仁한대 子曰 愛人이니라 問知한대 子曰 知人이니라
樊遲未達이어늘 子曰
擧直錯諸枉이면 能使枉者直이니라
[注]包曰 擧正直之人用之하고 廢置邪枉之人이면 則皆化爲直이라
樊遲退하야 見子夏曰
鄕也吾見於夫子而問知호니 子曰 擧直錯諸枉이면 能使枉者直이라하시니 何謂也
子夏曰
富哉
言乎
[注]孔曰 富 盛也
舜有天下 選於衆하사皐陶하시니 不仁者遠矣 湯有天下 選於衆하사 擧伊尹하시니 不仁者遠矣니라
[注]孔曰 言舜湯有天下 選擇於衆하야 擧皐陶伊尹하니 則不仁者遠矣하고 仁者至矣
[疏]‘樊遲’至‘遠矣’
○正義曰 : 此章明仁知也.
‘樊遲問仁 子曰 愛人’者, 言汎愛濟衆, 是仁道也.
‘問知 子曰 知人’者, 言知人賢才而擧之, 是知也.
‘樊遲未達 子曰 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者, 樊遲未曉達知人之意, 故孔子復解之, 言擧正直之人而用之, 廢置邪枉之人, 則皆化爲直,
故曰能使枉者直也.
‘樊遲退 見子夏曰 鄕也吾見於夫子而問知 子曰 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 何謂也’者, 樊遲雖擧直錯枉之語, 猶自未喩,
故復問子夏也.
‘子夏曰 富哉 言乎’者, 子夏聞言卽解,
故歎美之曰 “富盛哉,
此言乎.”
‘舜有天下 選於衆 擧皐陶 不仁者遠矣 湯有天下 選於衆 擧伊尹 不仁者遠矣’者, 此子夏爲樊遲說擧直錯枉之事也.
言舜‧湯有天下, 選擇於衆, 擧用皐陶‧伊尹, 則不仁者遠矣, 仁者至矣.
其能使邪枉者亦化爲直也.


번지樊遲을 묻자, 께서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라고 하시고, 를 묻자, 께서 “사람을 알아보는 것이다.”라고 하셨다.
번지樊遲가 이해하지 못하니, 께서 말씀하셨다.
“곧은 사람을 들어 쓰고 굽은 자들을 버리면 굽은 자로 하여금 곧아지게 할 수 있다.”
포왈包曰 : 정직正直한 사람을 들어 쓰고, 사왕邪枉(不正直)한 사람을 폐치廢置(廢棄)하면 〈부정직不正直한 사람이〉 모두 감화하여 정직한 사람이 된다.
번지樊遲가 물러나와 자하子夏를 보고 말하였다.
“조금 전에 내가 부자夫子를 뵙고 를 물었더니, 께서 ‘곧은 사람을 들어 쓰고 굽은 자들을 버리면 굽은 자로 하여금 곧아지게 할 수 있다.’라고 하셨는데, 무슨 뜻인가?”
자하子夏가 말하였다.
“〈내포한 뜻이〉 성대하도다.
말씀이시여!
공왈孔曰 : 성대盛大함이다.
천하天下를 소유하셨을 적에 많은 사람 중에서 선발하여 고요皐陶를 등용하시니, 불인不仁한 자들이 멀리 떠났고, 천하天下를 소유하셨을 적에 많은 사람 중에서 선발하여 이윤伊尹을 등용하시니, 불인不仁한 자들이 멀리 떠났다.”
공왈孔曰 : 제순帝舜성탕成湯천하天下를 소유했을 적에 많은 사람 중에서 선택하여 고요皐陶이윤伊尹을 등용하니 불인不仁가 멀리 떠나고 인자仁者가 이르렀다.
의 [樊遲]에서 [遠矣]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를 밝힌 것이다.
[樊遲問仁 子曰 愛人] 널리 사랑하고 대중을 구제하는 것이 바로 인도仁道라는 말이다.
[問知 子曰 知人] 사람의 현덕賢德재능才能을 알아 등용하는 것이 바로 라는 말이다.
[樊遲未達 子曰 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 번지樊遲지인知人의 뜻을 밝게 이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공자孔子께서 다시 해설解說하시어 “정직한 사람을 들어 쓰고 정직하지 않은 사람을 폐기하면 〈부정직한 사람들이〉 모두 감화하여 정직한 사람이 된다.
그러므로 굽은 자로 하여금 곧아지게 할 수 있다고 한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樊遲退 見子夏曰 鄕也吾見於夫子而問知 子曰 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 何謂也] 번지樊遲가 비록 거직조왕擧直錯枉이란 말씀을 들었으나 오히려 이해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다시 자하子夏에게 물은 것이다.
[子夏曰 富哉 言乎] 자하子夏는 번지의 말을 듣고 즉시 이해하였다.
그러므로 “〈내포한 뜻이〉 풍부하고도 성대하다.
이 말씀이시여!”라고 탄미歎美한 것이다.
[舜有天下 選於衆 擧皐陶 不仁者遠矣 湯有天下 選於衆 擧伊尹 不仁者遠矣] 이것은 자하子夏번지樊遲를 위해 거직조왕擧直錯枉의 일을 설명해준 것이다.
이 천하를 소유했을 적에 많은 사람 중에서 선택해서 고요皐陶이윤伊尹을 등용하니, 불인不仁가 멀리 떠나고 인자仁者가 이르렀다는 말이다.
이것이 사왕邪枉한 자들로 하여금 감화하여 곧은 사람이 되게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問)[聞] : 저본에는 ‘問’으로 되어있으나, 阮刻本에 “‘問’은 마땅히 ‘聞’이 되어야 한다. 閩本과 北監本에 모두 잘못되어 있으므로 지금 바로잡았다.”라고 한 것에 근거하여 ‘聞’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 (長)[是] : 저본에는 ‘長’으로 되어있으나, 阮刻本에 “‘長’은 마땅히 ‘是’가 되어야 한다. 글자 모양이 비슷하여 잘못된 것이다.”라고 한 것에 근거하여 ‘是’로 바로잡았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