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1)

논어주소(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 仲弓問子桑伯子한대
[注]王曰 伯子 無見焉이라
子曰
이니라
[注]孔曰 以其能簡이라 故曰可也라하시니라
仲弓曰
居敬而行簡하야 以臨其民이면 不亦可乎잇가
[注]孔曰 居身하고 臨下이면 則可
居簡而行簡이면 無乃大簡乎잇가
[注]包曰 伯子之簡 太簡이라
子曰
雍之言然하다
[疏]‘仲弓’至‘言然’
○正義曰:此章明行簡之法.
‘仲弓問子桑伯子’者, 仲弓, 冉雍字也.
問子桑伯子其人德行何如.
‘子曰 可也簡’者, 孔子爲仲弓述子桑伯子之德行也.
簡, 略也.
言其人可也, 以其行能寬略故也.
‘仲弓曰 居敬而行簡 以臨其民 不亦可乎’者, 仲弓因辨簡之可否, 言 “若居身敬肅而行寬略, 以臨其下民, 不亦可乎.” 言其可也.
‘居簡而行簡 無乃太簡乎’者, 言居身寬略, 而行又寬略, 乃大簡也, 則子桑伯子之簡, 是太簡也.
‘子曰 雍之言然’者, 然, 猶是也,
夫子許仲弓之言是, 故曰 “然.”
[疏]○注 ‘王曰 伯子 書傳無見焉’
○正義曰:‘書傳無見’ 不知何人也.
子桑伯子, 當是一人,
故此注及下包氏, 皆唯言伯子而已.


중궁仲弓자상백자子桑伯子에 대해 묻자,
왕왈王曰:자상백자子桑伯子경서經書전주傳注에 보이지 않는다.
께서 말씀하셨다.
“그도 〈남면南面하게〉 할 만하니, 대범하다.”
공왈孔曰:그도 대범한 정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다(하게 할 만하다)’고 하신 것이다.
중궁仲弓이 말하였다.
“몸가짐을 경건히 하고서 대범하게 행사行事하여 그 백성을 다스린다면 또한 하지 않겠습니까마는,
공왈孔曰:몸가짐을 경건히 하고, 아랫사람 다스리기를 대범하게 하면 하다는 말이다.
몸가짐을 대범하게 하고서 대범하게 행사한다면 너무 대범하지 않습니까?”
포왈包曰:자상백자子桑伯子의 대범은 너무 대범하다는 말이다.
께서 말씀하셨다.
의 말이 옳다.”
의 [仲弓]에서 [言然]까지
○正義曰:이 장은 행간行簡의 법을 밝힌 것이다.
[仲弓問子桑伯子] 중궁仲弓염옹冉雍이다.
자상백자子桑伯子의 덕행이 어떠냐고 물은 것이다.
[子曰 可也簡] 공자께서 중궁을 위해 자상백자의 덕행을 진술하신 것이다.
(까다롭지 않음)이다.
그 사람도 하다고 하신 것은 그도 일처리를 까다롭지 않고 관대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仲弓曰 居敬而行簡 以臨其民 不亦可乎] 중궁이 〈“가야간可也簡”이라고 하신 부자의 말씀으로〉 인하여 가부可否를 변론하기를 “만약 몸가짐을 경건히 하고서 관략寬略하게 행사하여 그 백성을 다스린다면 또한 하지 않겠습니까?”라고 한 것이니, 그렇게 해야 하다는 말이다.
[居簡而行簡 無乃太簡乎] 몸가짐을 관략寬略히 하고서 행사行事마저 또 관략寬略하다면 너무 대범하니, 그렇다면 자상백자子桑伯子의 대범은 너무 대범하다는 말이다.
[子曰 雍之言然] (옳음)와 같다.
부자夫子께서 중궁仲弓의 말이 옳다고 허여許與(인정)하셨기 때문에 “(옳다)”이라고 하신 것이다.
의 [王曰 伯子 書傳無見焉]
○正義曰:[書傳無見] 누구인지 알 수 없다는 말이다.
자상백자子桑伯子는 한 사람이다.
그러므로 이 와 아래 포씨包氏에 모두 단지 ‘백자伯子’라고만 말하였을 뿐이다.
정현鄭玄이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나라에 자상子桑공손지公孫枝란 사람이 있다고 하여 이 사람을 나라 대부大夫라고 한 것은 옳지 않은 듯하다.


역주
역주1 書傳 : 經書와 註釋書를 이른다.
역주2 可也簡 : 簡可也의 倒置이다. 可는 上句에 말한 ‘可使南面’의 可와 동일하니, 곧 ‘그도 대범하니 南面하게 할 만하다.’는 말이다.
역주3 : 孔穎達은 “관대하고 까다롭지 않음이다.[寬略]”라고 하였고, 皇侃은 “성격이 소탈하고 그릇이 커서 작은 예절을 따지지 않음이다.[疏大無細行]”라고 하였고, 朱子는 “번거롭지 않음을 이른다.[不煩之謂]”라고 하였고, 劉寶楠은 “소박하여 꾸밈이 없는 것이다.[易野]”라고 하고, 또 “簡은 큼이다.[簡 大也]”라고 한 《爾雅》 〈釋詁〉의 말을 소개하고서, “관대한 정치는 疏略(치밀하지 못하고 엉성함)한 것 같다.[寬大之治 有似疏略]”라고 하였고, 茶山은 “작은 일에 소략함이다.[略於細節]”라고 하였다. 이상의 諸說로 미루어보면, 簡은 寬大하여 까다롭지 않고, 예절이나 형식을 따지지 않는 소탈함인 듯하다. 우리말로는 ‘대범’이 簡의 訓에 가장 근접할 것 같으므로 ‘대범’으로 번역하였다.
역주4 敬肅 : 肅敬과 같은 말로 敬虔함이다.
역주5 寬略 : 寬大하여 까다롭지 않음이다.
역주6 鄭以左傳……秦大夫 : 劉寶楠의 《論語正義》에 “鄭玄의 注에 ‘子桑은 秦나라 대부이다.’라고 한 것은, 公孫枝의 字가 子桑이기 때문에 진나라 대부라고 한 것이다.[鄭注云 子桑 秦大夫 以公孫枝字子桑 故爲秦大夫]”라고 한 내용이 보인다.

논어주소(1) 책은 2021.08.0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