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3)

논어주소(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2. 子貢曰
君子亦有惡乎잇가
子曰
有惡하니
惡稱人之惡者하며
[注]包曰 好稱說人之惡이라 所以為惡니라
惡居下流而訕上者하며
[注]孔曰 訕 謗毀
惡勇而無禮者하며 惡果敢而窒者니라
[注]馬曰 窒 窒塞也
賜也亦有惡乎인저
惡徼以為知者하며
[注]孔曰 徼 抄也 抄人之意하야 以為己有
惡不孫以為勇者하며 惡訐以為直者하노이다
[注]包曰 訐 謂攻發人之陰私
[疏]‘子貢’至‘直者’
○正義曰 : 此章論人有惡行可憎惡也.
‘子貢曰 君子亦有惡乎’者, 君子, 謂夫子也.
子貢問 “夫子之意亦有憎惡者乎.”
‘子曰 有惡’者, 答言有所憎惡也.
‘惡稱人之惡’者, 謂好稱說人之惡, 所以惡之.
‘惡居下流而訕上’者, 訕, 謗毀也.
謂人居下位而謗毀在上, 所以惡之也.
‘惡勇而無禮’者, 勇而無禮義為亂, 所以惡之也.
‘惡果敢而窒’者, 窒, 謂窒塞.
謂好為果敢, 窒塞人之善道, 所以惡之也.
‘曰 賜也亦有惡乎’者, 子貢言 “賜也亦有所憎惡也.”
‘惡徼以為知’者, 徼, 抄也, 禮“毋說.”
若抄人之意, 以為己有,
所以惡之.
‘惡不孫以為勇’者, 孫, 順也.
君子義以為勇.
若以不順為勇者, 亦可惡也.
‘惡訐以為直’者, 訐, 謂攻發人之陰私也.
人之為直, 當自直己.
若攻發他人陰私之事, 以成己之直者, 亦可惡也.


자공子貢이 말하였다.
군자君子도 미워함이 있습니까?”
께서 말씀하셨다.
“미워함이 있다.
남의 (결점)을 말하는 자를 미워하며,
포왈包曰 : 남의 을 말하기 좋아하기 때문에 미워한다.
아랫자리에 있으면서 윗사람을 비방하는 자를 미워하며,
공왈孔曰 : 은 비방함이다.
용감하고 가 없는 자를 미워하며, 과감果敢하고 〈남의 선행善行을〉 막는 자를 미워한다.”
마왈馬曰 : 질색窒塞(막음)이다.
자공子貢이 말하였다.
“저도 미워함이 있습니다.
남의 것을 가로채어 저의 지식으로 삼는 자를 미워하며,
공왈孔曰 : (掠奪)이니, 남의 생각을 가로채어 저의 것으로 만듦이다.
공손하지 않은 것을 용감勇敢으로 여기는 자를 미워하며, 남의 비밀을 들추어내는 것을 곧음으로 여기는 자를 미워합니다.”
포왈包曰 : 은 남의 음사陰私(남에게 말할 수 없는 비밀)를 들추어냄을 이른다.
의 [子貢]에서 [直者]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은 사람에게 증오憎惡할 만한 악행惡行이 있음을 논한 것이다.
[子貢曰 君子亦有惡乎] 군자君子부자夫子를 이른다.
자공子貢이 “부자夫子의 마음에도 증오憎惡란 것이 있습니까?”라고 물은 것이다.
[子曰 有惡] 증오憎惡하는 바가 있다고 대답하신 것이다.
[惡稱人之惡] 남의 을 말하기 좋아하기 때문에 미워한다는 말이다.
[惡居下流而訕上] 은 비방함이다.
하위下位에 있는 사람이 상위上位에 있는 사람을 비방하기 때문에 미워한다는 말이다.
[惡勇而無禮] 용감하면서 예의가 없으면 을 일으키기 때문에 미워한다는 말이다.
[惡果敢而窒] 은 막음을 이른다.
과감果敢하기를 좋아하고 남의 선도善道를 막기 때문에 미워한다는 말이다.
[曰 賜也亦有惡乎] 자공子貢이 “저도 증오憎惡하는 바가 있습니다.”라고 말한 것이다.
[惡徼以為知] 이니, 《예기禮記》 〈곡례曲禮〉에 “남의 말을 가로채지 말라.[毋勦說]”고 하였다.
만약 남의 생각을 가로챈다면 그것을 제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미워한다.
[惡不孫以為勇] 함이다.
군자君子를 〈행하는 것을〉 용감勇敢으로 삼아야 한다.
만약 손순遜順하지 않음을 용감으로 삼는다면 이 또한 미워할 만하다.
[惡訐以為直] 은 남의 음사陰私를 들추어냄을 이른다.
남을 곧게 하려면 자신부터 곧아야 한다.
만약 다른 사람의 음사陰私한 일을 들추어냄으로써 자기의 곧음을 이루려는 자라면 이 또한 미워할 만하다.


역주
역주1 [惡] : 저본에는 ‘惡’字가 없으나, “皇本에는 ‘抄’ 위에 ‘惡’자가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2 (抄)[勦] : 저본에는 ‘抄’로 되어있으나, “‘抄’는 ‘勦’가 되어야 한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勦’로 바로잡았다.

논어주소(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