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1)

논어주소(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4. 子曰
君子食無求飽하며 居無求安하며
[注]鄭曰 學者之志 有所不暇
敏於事而愼於言이요 就有道而正焉이면 可謂好學也已니라
[注]孔曰 敏 疾也
有道 有道德者
謂問事是非
[疏]‘子曰君子’至‘也已’
○正義曰:此章述好學之事.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者, 言學者之志 樂道忘飢, 故不暇求其安飽也.
‘敏於事而愼於言’者, 敏, 疾也, 言當敏疾於所學事業, 則有成功,
說命曰 “敬遜務時敏, 厥脩乃來.” 是也. 學有所得, 又當愼言說之.
‘就有道而正焉’者, 有道, 謂有道德者, 正, 謂問其是非. 言學業有所未曉, 當就有道德之人, 正定其是之與非.
易文言曰 “問以辨之.” 是也.
‘可謂好學也已’者, 摠結之也, 言能行在上諸事, 則可謂之爲好學也.


께서 말씀하셨다.
군자君子(學者)는 음식에 배부르기를 구하지 않으며, 거처에 편안하기를 구하지 않으며,
정왈鄭曰:학자學者의 뜻이 거기에 미칠 겨를이 없어서이다.
일에는 민첩하고 말에는 신중하며, 가 있는 이에게 가서 자기의 시비是非를 묻는다면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이를 수 있다.”
공왈孔曰:(빠름)이다.
유도有道도덕道德이 있는 사람이다.
은 일의 시비是非를 물음을 이른다.
의 [子曰 君子]에서 [也已]까지
○正義曰:이 장은 배우기를 좋아하는 일을 서술한 것이다.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 학자學者의 뜻은 를 즐겨 배고픔을 잊기 때문에 편안하고 배부르기를 구할 겨를이 없다는 말이다.
[敏於事而愼於言] 이니, 배우는 일에 민첩하면 성공成功이 있다는 말이다.
서경書經》 〈열명說命〉에 “경건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힘써 이 일을 민첩히 하여야 그 수습修習학업學業이 이루어진다.”고 한 것이 이것이니, 배워서 얻은 것이 있어도 또 신중히 말해야 한다는 말이다.
[就有道而正焉] 유도有道도덕道德이 있는 이를 이르고, 은 자신의 시비是非를 묻는 것이니, 배운 것 중에 이해되지 않는 것이 있으면 도덕이 있는 사람에게 가서 그 옳고 그름을 정정正定해야 된다는 말이다.
주역周易건괘乾卦문언전文言傳〉에 말한 “물어서 시비를 변별辨別하다.”는 것이 이것이다.
[可謂好學也已] 결어結語이니, 위에 말한 여러 가지 일을 행한다면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이를 수 있다는 말이다.



논어주소(1) 책은 2021.08.0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