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 仲弓問仁한대 子曰
出門如見大賓하며 使民如承大祭하며
[注]孔曰 爲仁之道 莫尙乎敬이라
己所不欲 勿施於人이니 在邦無怨하며 在家無怨이니라
[注]包曰 在邦 爲諸侯 在家 爲卿大夫
仲弓曰
雍雖不敏이나 請事斯語矣로리이다
[疏]‘仲弓問仁’至‘語矣’
○正義曰 : 此章明仁在敬恕也.
‘子曰 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者, 此言爲仁之道, 莫尙乎敬也.
大賓, 公侯之賓也.
大祭, 禘郊之屬也.
人之出門, 失在倨傲, 故戒之出門如見公侯之賓. 使民失於驕易, 故戒之如承奉禘郊之祭.
‘己所不欲 勿施於人’者, 此言仁者必恕也.
己所不欲, 無施之於人, 以他人亦不欲也.
‘在邦無怨 在家無怨’者, 言旣敬且恕, 若在邦爲諸侯, 必無人怨, 在家爲卿大夫, 亦無怨也.
‘仲弓曰 雍雖不敏 請事斯語矣’者, 亦承謝之語也.


중궁仲弓을 묻자, 께서 말씀하셨다.
“문을 나가서 〈사람들을 대할 때에는〉 대빈大賓을 만나듯이 하고, 백성을 부릴 때에는 대제大祭를 받들듯이 하며,
공왈孔曰 : 을 하는 방법에는 보다 더한 것이 없다.
자기가 원하지 않는 일을 남에게 강요하지 말 것이니, 〈그리하면〉 나라에 있어서도 원망함이 없고 집에 있어서도 원망함이 없다.”
포왈包曰 : 재방在邦제후諸侯가 됨이고, 재가在家대부大夫가 됨이다.
중궁仲弓이 말하였다.
“제가 비록 불민不敏하지만 이 말씀을 일삼겠습니다.”
의 [仲弓問仁]에서 [語矣]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장은 에 달려있음을 밝힌 것이다.
[子曰 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이것은 을 행하는 방법에는 보다 더한 것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대빈大賓공후公侯(諸侯의 사신使臣)이다.
대제大祭체제禘祭교제郊祭 따위이다.
사람들이 문밖을 나갔을 때는 과실過失오만불공傲慢不恭한 데 있기 때문에 문을 나갔을 때에는 공후公侯빈객賓客을 만나듯이 하라고 경계하신 것이고, 백성을 부릴 때에는 과실過失이 교만하게 〈백성을〉 깔보는 데 있기 때문에 체제禘祭교제郊祭를 받들듯이 하라고 경계하신 것이다.
[己所不欲 勿施於人] 이것은 인자仁者는 반드시 (자기의 마음을 미루어 남의 마음을 헤아림)함을 말한 것이다.
자기가 원하지 않는 일을 남에게 강요하지 않는 것은 다른 사람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在邦無怨 在家無怨] 이미 공경하고 한다면 나라에 있어 제후諸侯가 되더라도 반드시 남의 원망이 없고, 집에 있어 이나 대부大夫가 되더라도 남의 원망이 없을 것이라는 말이다.
[仲弓曰 雍雖不敏 請事斯語矣] 이 또한 스승의 말씀을 듣고 감사를 표한 것이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