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3)

논어주소(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 周公謂魯公
[注]孔曰 魯公 周公之子伯禽이니 封於魯하니라
[注]孔曰 施 易也 不以他人之親易己之親이라
不使大臣怨乎不以하며
[注]孔曰 以 用也 怨不見聽用이라
故舊無大故 則不棄也하며 無求備於一人이니라
[注]孔曰 大故 謂惡逆之事
[疏]‘周公’至‘故舊無大故 則不棄也 無求備於一人’
○正義曰 : 此一章記周公戒魯公之語也.
‘周公謂魯公’者, 魯公, 周公之子伯禽, 封於魯, 將之國, 周公戒之也.
‘曰 君子不施其親’者, 施, 易也.
言君子為國, 不以他人之親易己之親, 當行博愛廣敬也.
‘不使大臣怨乎不以’者, 以, 用也.
旣仕為大臣, 則當聽用之, 不得令大臣怨不見聽用.
‘故舊無大故 則不棄’者, 大故, 謂惡逆之事也.
故舊, 朋友, 無此惡逆之事, 則不有遺棄也.
‘無求備於一人’者, 求, 責也.
任人當隨其才, 無得責備於一人也.


주공周公노공魯公에게
공왈孔曰 : 노공魯公주공周公의 아들 백금伯禽이니 나라에 해졌다.
말하였다.
군자君子는 그 친애親愛〈하는 마음〉을 바꾸지 않아야 하며,
공왈孔曰 : (바꿈)이니, 다른 사람의 친속親屬이라 하여 나의 친애親愛〈하는 마음〉을 바꾸지 않음이다.
대신大臣으로 하여금 써주지 않음을 원망하지 않게 해야 하며,
공왈孔曰 : (씀)이니, 〈그 말을〉 듣고서 채용해주지 않음을 원망하는 것이다.
오랜 벗이 중대한 잘못이 없으면 버리지 않아야 하며, 한 사람에게 모든 것을 갖추기를 요구하지 말아야 한다.”
공왈孔曰 : 대고大故간악奸惡역란逆亂의 일을 이른다.
의 [周公]에서 [故舊無大故 則不棄也 無求備於一人]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한 주공周公노공魯公을 경계한 말을 기록한 것이다.
[周公謂魯公] 노공魯公주공周公의 아들 백금伯禽이니, 나라에 함을 받고 〈나라로〉 갈 때에 주공周公이 경계한 것이다.
[曰 君子不施其親] (바꿈)이다.
군자君子가 나라를 다스리되, 다른 사람의 친속이라 하여, 나의 친애親愛〈하는 마음〉을 바꾸지 말고, 널리 사랑하고 널리 공경하는 〈도리를〉 행해야 한다는 말이다.
[不使大臣怨乎不以] (씀)이다.
이미 벼슬하여 대신大臣이 되었다면 그의 말을 듣고 채용함[聽用]이 마땅하니, 대신大臣으로 하여금 〈그 말을〉 듣고서 채용해주지 않음을 원망하게 해서는 안 된다.
[故舊無大故 則不棄] 대고大故는 간악한 역란逆亂의 일을 이른다.
고구故舊붕우朋友이니, 이러한 악역惡逆의 일이 없으면 버리지 않아야 한다.
[無求備於一人] (요구함)이다.
사람에게 관직官職을 맡길 적에는 마땅히 그 사람의 재주에 따라 〈맡겨야 하고,〉 한 사람에게 모든 것을 갖추기를 요구하지 말아야 한다.


역주
역주1 君子不施其親 : 《論語集註》에는 “施는 陸氏(陸德明)의 本에 弛로 되어있다. 弛는 遺棄함이다.[施 陸氏本作弛 弛 遺棄也]”라고 하였고, 劉寶楠의 《論語正義》에도 “不施가 《經典釋文》에는 不弛로 되어있다. 施와 弛 두 字는 옛날에 통용한 예가 많다. 《禮記》 〈坊記〉에 대한 鄭玄의 注에 ‘弛는 棄忘과 같다.’고 하였으니, 棄忘으로 이 글을 訓釋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不施 釋文作不弛 施弛二字 古多通用 鄭注坊記云 弛 猶棄忘也 以訓此文最當]”라고 하였다. 孔注와 邢疏의 說처럼 “다른 사람의 親屬이라 하여 나의 親愛하는 마음을 바꾸지 않아야 한다.”로 해석한다 해서 말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니나, 施를 弛의 訓으로 풀어 “親屬을 버리지 않아야 한다.”로 해석하는 것이 切當함만 못하다.
역주2 (不) : 저본에는 ‘不’字가 있으나, “孫志祖가 ‘不’자는 衍文이라고 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논어주소(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