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孔子於鄕黨 恂恂如也하사 似不能言者러시다
[注]王曰 恂恂 溫恭之貌
其在宗廟朝廷하얀 便便言하시되 唯謹爾러시다
[注]鄭曰 便便 辯也
雖辯而謹敬이라
與下大夫言 侃侃如也하시고
[注]孔曰 侃侃 和樂之貌
與上大夫言 誾誾如也러시다
[注]孔曰 誾誾 中正之貌
君在어시든 踧踖如也하시며 與與如也러시다
[注]馬曰 君在 視朝也
踧踖 恭敬之貌 與與 威儀中適之貌
[疏]‘孔子’至‘與與如也’
○正義曰 : 此一節記言語及趨朝之禮容也.
‘孔子於鄕黨 恂恂如也 似不能言’者, 恂恂, 溫恭之貌.
言孔子在於鄕黨中, 與故舊相接, 常溫和恭敬, 恂恂然如似不能言語者, 道其謙恭之甚也.
凡言‘如也’者, 皆謂如此義也.
‘其在宗廟朝廷 便便言 唯謹爾’者, 便便, 辨也.
宗廟, 行禮之處. 朝廷, 布政之所, 當詳問極言,
故辨治也.
雖辨而唯謹敬.
‘朝 與下大夫言 侃侃如也 與上大夫言 誾誾如也’者, 侃侃, 和樂之貌. 誾誾, 中正之貌.
下大夫稍卑, 故與之言, 可以和樂. 上大夫, 卿也. 爵位旣尊, 故與之言, 常執中正, 不敢和樂也.
‘君在 踧踖如也 與與如也’者. 君在, 謂視朝時也.
踧踖, 恭敬之貌. 與與, 威儀中適之貌.
旣當君在之所, 故恭敬, 使威儀中適, 不敢解惰也.


공자孔子께서 향당鄕黨에서는 온화하고 공손하시어 마치 말을 잘하지 못하는 사람 같으셨다.
왕왈王曰 : 순순恂恂은 온화하고 공손한 모양이다.
공자孔子께서 종묘宗廟조정朝廷에 계실 때에는 말씀을 잘하시되, 오직 삼가실 뿐이셨다.
정왈鄭曰 : 편편便便은 말을 잘함이다.
비록 말씀을 잘하셨지만 삼가고 공경하셨다.
조정朝廷에서 하대부下大夫와 말씀하실 때에는 화락和樂하셨고,
공왈孔曰 : 간간侃侃화락和樂한 모양이다.
상대부上大夫와 말씀하실 때에는 중정中正하셨다.
공왈孔曰 : 은은誾誾중정中正(치우치지 않고 정직함)한 모양이다.
임금이 나와 계시면 공경恭敬하시며, 위의威儀중적中適하셨다.
마왈馬曰 : 군재君在시조視朝(임금이 조정에 나와 정무政務를 처리함)이다.
축적踧踖공경恭敬하는 모양이고, 여여與與위의威儀(몸가짐)가 에 맞는 모양이다.
의 [孔子]에서 [與與如也]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한 은 말씀하실 때와 조정朝廷에 나아가셨을 때의 예용禮容(예에 맞는 용모)을 기록한 것이다.
[孔子於鄕黨 恂恂如也 似不能言] 순순恂恂은 온화하고 공경하는 모양이다.
공자孔子께서 향당鄕黨에 계시면서 벗들과 서로 만나실 때는 항상 온화하고 공경하시어, 말씀을 잘하지 못하는 사람과 같았다는 말이니, 공자孔子께서 매우 겸손謙遜하고 공경恭敬하셨음을 이른 것이다.
여야如也’라고 말한 것은 모두 ‘이와 같았다.’라는 뜻이다.
[其在宗廟朝廷 便便言 唯謹爾] 편편便便은 말을 잘함이다.
종묘宗廟를 행하는 곳이고 조정朝廷정사政事를 펴는 곳이니, 자세히 묻고 힘을 다해 말해야 한다.
그러므로 변치辯治(是非를 따져 일을 처리함)하신 것이다.
비록 변치辯治하셨으나, 오직 삼가고 조심하셨을 뿐이다.
[朝 與下大夫言 侃侃如也 與上大夫言 誾誾如也] 간간侃侃화락和樂한 모양이고, 은은誾誾중정中正한 모양이다.
하대부下大夫신분身分이 조금 낮기 때문에 그들과 말씀하실 때에는 화락和樂하게 해야 하지만 상대부上大夫이니 작위爵位가 높기 때문에 그들과 말씀하실 때에는 항상 중정中正을 지키시고 감히 화락和樂하게 하지 않으신 것이다.
[君在 踧踖如也 與與如也] 군재君在시조시視朝時(임금이 조정에 나와 정무를 처리할 때)를 이른다.
축적踧踖공경恭敬하는 모습이고, 여여與與위의威儀에 맞는 모습이다.
임금이 〈계신 곳에〉 당도하였기 때문에 공경恭敬하시어 몸가짐을 에 맞게 하고 감히 게을리하지 않으신 것이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