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 子曰
誦詩三百호되 授之以政이면 不達하고 使於四方하야 不能專對 雖多 亦奚以爲리오
[注]專 猶獨也
[疏]‘子曰 誦詩三百 授之以政 不達 使於四方 不能專對 雖多 亦奚以爲’
○正義曰 : 此章言人之才學, 貴於適用. 若多學而不能用, 則如不學也.
誦, 謂諷誦.
周禮注云 “倍文曰諷. 以聲節之曰誦”
詩有國風雅頌, 凡三百五篇, 皆言天子諸侯之政也.
古者使適四方, 有會同之事, 皆賦詩以見意,
今有人能諷誦詩文三百篇之多, 若授之以政, 使居位治民, 而不能通達, 使於四方, 不能獨對, 諷誦雖多, 亦何以爲.
言無所益也.


께서 말씀하셨다.
“《시경詩經》 300을 〈줄줄〉 외되, 정치를 맡겨주면 소통하지 못하고, 사방에 사신使臣으로 가서 독자적獨自的으로 응대應對하지도 못한다면 비록 많이 왼다 한들 무엇에 쓰겠는가?”
과 같다.
의 [子曰 誦詩三百 授之以政 不達 使於四方 不能專對 雖多 亦奚以爲]
정의왈正義曰 : 이 은 사람의 재능才能학문學問은 알맞게 응용하는 것이 중요하니, 만약 많이 배우고도 응용하지 못한다면 배우지 않은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풍송諷誦(욈)을 이른다.
주례주周禮注》에 “책을 보지 않고 돌아앉아서 글을 외는 것을 ‘’이라 하고, 소리에 가락을 넣어 읽는 것을 ‘’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시경詩經》의 〈국풍國風〉‧〈〉‧〈〉에 모두 305편의 가 실려있는데, 모두 천자天子제후諸侯정치政治를 말한 것이다.
옛날에는 사신使臣이 사방의 나라로 가서 회동會同의 일이 있을 때에 모두 를 읊어 의사意思를 표현하였다.
지금 300편의 많은 시문詩文을 외는 사람이 있다 하더라도 그에게 정무政務를 주어 직위職位에 앉아 백성을 다스리게 하면 소통하지 못하고, 사방에 사신使臣으로 가서 독자적으로 응대應對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많이 왼다 한들 무엇에 쓰겠는가?
소용이 없다는 말이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