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1)

논어주소(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0. 季文子三思而後行이라하니 子聞之하시고
라도 斯可矣리라
[注]鄭曰 季文子 魯大夫季孫行父
諡也
文子忠而有賢行하야 其擧事寡過하니 不必及三思
[疏]‘季文子三思而後行 子聞之 曰 再 斯可矣’
○正義曰:此章美魯大夫季文子之德.
文子忠而有賢行, 其擧事, 皆三思之, 然後乃行, 常寡過咎.
孔子聞之 曰 “不必及三思, 但再思之, 斯亦可矣.”
[疏]○注 ‘鄭曰’至‘三思’
○正義曰:案春秋, 文六年經書 “秋, 季孫行父如晉.” 左傳曰 “將聘於晉, 使求遭喪之禮以行.
其人曰 ‘將焉用之.’ 文子曰
‘備豫不虞, 古之善敎也.
求而無之, 實難, 過求何害.’”
杜預云 “所謂文子三思.” 故知文子魯大夫季孫行父也.
諡法云 “德博厚曰文.”


계문자季文子가 세 번 생각한 뒤에 행동하였다고 하니, 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말씀하셨다.
“두 번만 생각해도 (잘못되는 일이 없음)하였을 것이다.”
정왈鄭曰:계문자季文子나라 대부 계손행보季孫行父이다.
은 시호이다.
문자文子는 충성스럽고 어진 덕행德行이 있어서 거행하는 일에 과오過誤가 적었으니, 세 번까지 생각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의 [季文子三思而後行 子聞之 曰 再 斯可矣]
○正義曰:이 장은 나라 대부 계문자季文子의 덕을 찬미한 것이다.
계문자는 충성스럽고 어진 덕행이 있어서 일을 거행할 때에 모두 세 번 생각한 뒤에 실행하였으므로 항상 허물이 적었다.
공자께서 이 말을 듣고서 “세 번까지 생각할 필요 없이 두 번만 생각해도 하였을 것이다.”라고 하신 것이다.
의 [鄭曰]에서 [三思]까지
○正義曰:《춘추春秋》를 고찰하건대, 문공文公 6년 에 “가을에 계손행보季孫行父나라에 갔다.”고 하였는데, 《좌씨전左氏傳》에 “〈가을에〉 계문자季文子가 진나라에 빙문聘問 가려 할 때 그 종자從者에게 을 당했을 경우에 사용使用예의禮儀청구請求하게 한 뒤에 떠났다.
그 종자가 ‘어디에 쓰려는 것입니까?’ 하고 묻자, 문자가 말하였다.
‘뜻밖에 생길지도 모를 일[不虞]에 미리 대비하라는 것은 옛날의 훌륭한 가르침이다.
일을 당하여 구할 곳이 없으면 실로 난처難處하니 지나치게 구한다 하여 무엇이 해롭겠는가?’”라고 하였다.
두예杜預의 주에 “이것이 《논어論語》에 이른바 ‘문자삼사文子三思’이다.”라고 하였으므로, 계문자가 노나라 대부 계손행보임을 안 것이다.
시법諡法〉에 “광박廣博하고 심후深厚한 것을 이라 한다.”고 하였다.


역주
역주1 季文子 : 《春秋左氏傳》에 의하면, 季文子는 孔子가 출생하기 17년 전인 襄公 5년에 卒하였다.

논어주소(1) 책은 2021.08.0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