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1)

논어주소(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 子曰
我未見好仁者 惡不仁者케라
好仁者 無以尙之
[注]孔曰 難復加也
惡不仁者 其爲仁矣 不使不仁者乎其身이니라
[注]孔曰 言惡不仁者 能使不仁者不加非義於己 不如好仁者無以尙之爲優
有能一日 用其力於仁矣乎
我未見力不足者케라
[注]孔曰 言人無能一日用其力脩仁者耳
我未見欲爲仁而力不足者케라
蓋有之矣어늘 我未之見也로다
[注]孔曰 謙不欲盡時人하야 言不能爲仁이라
故云 爲能有爾 我未之見也라하시니라
[疏]‘子曰’至‘見也’
○正義曰:此章疾時無仁也.
‘我未見好仁者 惡不仁者’ 孔子言 “我未見性好仁者, 亦未見能疾惡不仁者也.”
‘好仁者 無以尙之’者, 此覆說上好仁者也.
尙, 上也.
言性好仁者, 爲德之最上, 他行無以更上之, 言難復加也.
‘惡不仁者 其爲仁矣 不使不仁者 加乎其身’ 此覆說上惡不仁者也.
言能疾惡不仁者, 亦得爲仁, 但其行少劣, 故曰 “其所爲仁矣也, 唯能不使不仁者加乎非義於己身也.” 不如好仁者無以尙之爲優也.
‘有能一日用其力於仁矣乎’者, 言世不脩仁也.
故曰 “有人能一日之間, 用其力於仁道矣乎.” 言人誠能一日用其力脩仁者.
‘我未見力不足者’ 言, 行仁甚易, 我欲仁, 斯仁至矣, 何須用力.
故曰 “我未見欲爲仁而力不足者也.”
‘蓋有之矣 我未之見也’者, 此孔子謙, 不欲盡誣時人言不能爲仁.
故曰 “蓋有能爲之者矣, 但我未之見也.”


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을 좋아하는 자와 불인不仁을 미워하는 자를 보지 못하였다.
을 좋아하는 자는 더할 수 없이 〈우수〉하고,
공왈孔曰:다시 더하기 어렵다는 말이다.
불인不仁을 미워하는 자도 을 행할 수 있으나, 〈단지〉 불인不仁한 자로 하여금 자기에게 〈불인한 짓을〉 베풀지 못하게 할 뿐이다.
공왈孔曰:불인을 미워하는 자는 불인한 자가 도의에 맞지 않는 일을 자기에게 베풀지 못하게 할 수 있을 뿐이니, 인을 좋아하는 자가 더할 수 없이 우수한 것만 못하다는 말이다.
하루라도 그 힘을 에 쓰는 자가 있느냐?
나는 힘이 부족해서 〈인을 행하지 못하는 자를〉 보지 못하였다.
공왈孔曰:하루라도 그 힘을 수행修行하는 데 쓰는 자가 없을 뿐이다.
나는 인을 하고자 하나 힘이 부족한 자를 보지 못하였다는 말이다.
아마도 그런 사람이 있을 것인데, 내가 보지 못하였을 뿐이다.”
공왈孔曰:공자는 겸손하시어 근거 없는 말로 당시 사람들을 모두 깎아내려 인을 행할 수 없다고 말하고자 하지 않으셨다.
그러므로 그런 사람이 있을 수 있는데 내가 보지 못하였을 뿐이라고 하신 것이다.
의 [子曰]에서 [見也]까지
○正義曰:이 장은 당시에 을 행하는 자가 없음을 미워하신 것이다.
[我未見好仁者 惡不仁者] 공자께서 “나는 천성天性을 좋아하는 자를 보지 못하였고, 또 불인을 미워하는 자도 보지 못하였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好仁者 無以尙之] 이것은 위에 말한 ‘호인자好仁者’를 다시 설명한 것이다.
이다.
천성이 인을 좋아하는 자는 이 최상이어서 이보다 더 높은 다른 덕이 있을 수 없다고 하였으니, 다시 더하기 어렵다는 말이다.
[惡不仁者 其爲仁矣 不使不仁者 加乎其身] 위에 말한 ‘악불인자惡不仁者’를 다시 설명한 것이다.
불인을 미워하는 자도 인을 행할 수 있으나, 단지 그 덕행이 저열低劣하기 때문에 “그가 인을 행하는 방법은 오직 불인한 자로 하여금 도의에 맞지 않는 일을 자기에게 베풀지 않게(못하게) 할 뿐이다.”라고 한 것이니, 인을 좋아하는 자가 다시 더할 수 없이 우수한 것만 못하다는 말이다.
[有能一日用其力於仁矣乎] 세상 사람들이 인을 수행修行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루라도 그 힘을 인도仁道에 쓰는 자가 있느냐?”고 한 것이니, 진실로 하루라도 인을 수행하는 데 힘을 쓰는 사람이 있느냐는 말이다.
[我未見力不足者] 덕은 가볍기가 털과 같고 인은 행하기가 매우 쉬워서 내가 인을 행하고자 하면 인이 바로 이르니, 힘을 쓸 필요가 뭐 있는가?
그러므로 “나는 인을 행하고자 하는 자가 힘이 부족해서 〈인을 행하지 못하는 것을〉 보지 못하였다.”고 하신 것이다.
[蓋有之矣 我未之見也] 이것은 공자께서는 겸손하시어 근거 없는 말로 당시 사람들을 모두 깎아내려 인을 행할 수 없다고 말하고자 하지 않으셨다.
그러므로 “아마도 그런 사람이 있을 것인데, 단지 내가 보지 못하였을 뿐이다.”라고 하신 것이다.


역주
역주1 : 劉寶楠의 《論語正義》에 “加는 施(베풂)이다.”라고 하였다.
역주2 : 근거 없는 말로 남을 헐뜯어 깎아내림이다.
역주3 (耳)[乎] : 저본에는 ‘耳’로 되어있으나, 阮刻本에 “浦鏜이 ‘耳’는 마땅히 ‘乎’자가 되어야 하니, 오자이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乎’로 바로잡았다.
역주4 德輶如毛 : 덕이 羽毛처럼 가볍다는 말로 덕을 행하기가 매우 쉬움을 비유한 말이다. 《毛詩》 〈大雅 蒸民〉에 보인다.

논어주소(1) 책은 2021.08.0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