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8. 子路宿於石門이러니
晨門曰
奚自
[注]晨門者 閽人也
子路曰
自孔氏로라
是知其不可而爲之者與
[注]包曰 言孔子知世不可爲而强爲之
[疏]‘子路’至‘者與’
○正義曰 : 此章記隱者晨門之言也.
‘子路宿於石門 晨門曰 奚自’者, 石門, 地名也.
晨門, 掌晨昏開閉門者, 謂閽人也.
自, 從也. 奚, 何也.
時子路宿於石門, 夙興爲人所問曰 “汝何從來乎”
‘子路曰 自孔氏’者, 子路答閽人, 言自孔氏處來也.
‘曰 是知其不可而爲之者與’者, 晨門聞子路云從孔氏, 未審孔氏爲誰, 又舊知孔子之行, 故問曰 “是知其世不可爲, 而周流東西, 彊爲之者, 此孔氏與” 意非孔子不能隱遯辟世也.


자로子路석문石門에서 하룻밤을 묵었다.
신문晨門이 물었다.
“어디에서 오셨소?”
신문晨門혼인閽人(문지기)이다.
자로子路가 말하였다.
공씨孔氏처소處所에서 왔소.”
신문晨門이 말하였다.
“이가 바로 그 일이 안 될 줄을 알면서 그 일을 하는 자입니까?”
포왈包曰 : 공자孔子는 〈를 펼 수〉 없는 세상임을 알면서도 억지로 그 일을 한다는 말이다.
의 [子路]에서 [者與]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은자隱者신문晨門의 말을 기록한 것이다.
[子路宿於石門 晨門曰 奚自] 석문石門지명地名이다.
신문晨門은 새벽과 저녁에 문을 열고 닫는 일을 맡은 문지기를 이른다.
(부터)이고, (어디)이다.
이때 자로子路석문石門에서 유숙留宿하고서 새벽에 일어나 〈길을 떠나기 위해 성문城門에 당도하였다가〉 혼인閽人에게 “당신은 어디에서 왔소?”라는 물음을 받은 것이다.
[子路曰 自孔氏] 자로子路혼인閽人에게 “공씨孔氏처소處所에서 왔소.”라고 대답한 것이다.
[曰 是知其不可而爲之者與] 신문晨門이 “공씨孔氏의 처소에서 왔소.”라고 한 자로子路의 말을 듣고 공씨孔氏가 누구인지 자세히 몰랐고, 또 전부터 공자孔子행위行爲에 대해 알고 있었으므로 “이가 바로 〈를 펼 수 없는〉 세상임을 알면서도 사방을 두루 돌아다나며 억지로 그 일을 하는 공씨孔氏입니까?”라고 물은 것이니, 은둔隱遯해 세상을 피하지 않는 공자孔子를 마음속으로 비난한 것이다.


역주
역주1 (門)[閽] : 저본에는 ‘門’으로 되어있으나, 阮刻本에 “北監本과 毛本에 ‘門人’이 ‘閽人’으로 되어있다. 살펴보건대 ‘門’자는 誤字이다.”라고 한 것에 의거해 ‘閽’으로 바로잡았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