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1)

논어주소(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5. 子曰
孟之反 不伐이로다
[注]孔曰 魯大夫孟之側 與齊戰하야 軍大敗
不伐者 不自伐其功이라
奔而殿타가 將入門 策其馬曰 非敢後也 馬不進也라하니라
[注]馬曰 殿 在軍後
前曰啓 後曰殿이라
孟之反賢而有勇하야 軍大奔 獨在後爲殿이라
人迎功之하니 不欲獨有其名하야 曰 我非敢在後拒敵이라 馬不能前進이라하니라
[疏]‘子曰’至‘進也’
○正義曰:此章言功以不伐爲善也.
‘孟之反不伐’者, 誇功曰伐.
孟之反, 魯大夫孟之側也. 有軍功而不誇伐也.
‘奔而殿 將入門 策其馬曰 非敢後也 馬不進也’者, 此其不伐之事也.
在軍後曰殿.
策, 捶也.
魯與齊戰, 魯師敗而奔, 孟之反賢而有勇, 獨在後爲殿.
人迎功之, 不欲獨有其名.
故將入國門, 乃捶其馬, 欲先奔者入城也.
且曰 “我非敢在後爲殿以拒敵, 馬不能前進故也.”
[疏]○注 ‘孔曰 魯大夫孟之側’
○正義曰:杜預曰 “之側, 孟氏族, 字反.” 是也.
[疏]○注 ‘馬曰’至‘前進’
○正義曰:云 ‘殿 在軍後 前曰啓 後曰殿’者, 案司馬法謀帥篇曰 “夫前驅啓, , 倅車屬焉.” 大震, 卽大殿也,
音相似.
襄二十三年左傳曰 “齊侯伐衛, 大殿, 商子游御夏之御寇.” 詩曰 “元戎十乘, 以先啓行.” 是殿在軍後, 前曰啓也.
案哀十一年左傳說此事云 “齊師伐我, 及淸, 孟孺子洩帥右師, 冉求帥左師, 師及齊師戰于郊, 右師奔, 齊人從之.
孟之側後入以爲殿, 抽矢策其馬曰 ‘馬不進也.’”
文不同者, 各據所聞而記之也.


께서 말씀하셨다.
맹지반孟之反을 자랑하지 않았다.
공왈孔曰:나라 대부 맹지측孟之側나라와 전쟁하여 군대가 대패하였다.
불벌不伐은 스스로 자기의 을 자랑하지 않음이다.
패주敗走할 때에 맨 뒤에 오다가 성문을 들어서려 할 때에 그 말에 채찍을 치며 말하기를 ‘감히 뒤에 오려 한 것이 아니라 말이 앞으로 나아가지 않아서이다.’라고 하였다.”
마왈馬曰:殿은 군대의 후미後尾에 있는 것이다.
앞에 가는 군대를 라 하고, 뒤에 가는 군대를 殿이라 한다.
맹지반孟之反은 현명하면서도 용기가 있어서 군대가 대패해 도망해 올 적에 홀로 뒤에 떨어져서 전군殿軍(後軍)이 되었다.
사람들이 맞이해 〈뒤에 온 것을〉 공으로 여기니, 그 명성을 독차지하고자 하지 않아 “내가 감히 뒤에 오면서 적을 막으려 한 것이 아니라 말이 앞으로 나아가지 않아서이다.”라고 한 것이다.
의 [子曰]에서 [進也]까지
○正義曰:이 장은 을 자랑하지 않은 것을 훌륭하게 여긴 것이다.
[孟之反不伐] 공을 자랑하는 것을 이라 한다.
맹지반孟之反나라 대부 맹지측孟之側인데, 군공軍功이 있는데도 자랑하지 않은 것이다.
[奔而殿 將入門 策其馬曰 非敢後也 馬不進也] 이것이 그가 공을 자랑하지 않은 일이다.
군대의 후미에 있는 것을 殿이라 한다.
은 채찍이다.
나라가 나라와 전쟁하다가 노나라 군대가 패배하여 도망해 올 적에 맹지반孟之反은 현명하면서도 용기가 있어서 홀로 뒤에 떨어져 후군後軍이 되었다.
사람들이 맞이해 이를 공으로 여겼으나, 그는 그 명성을 독차지하고자 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국문國門을 들어오려 할 때에 그 말에 채찍을 쳐서 도망해 오는 다른 군사들보다 먼저 성 안으로 들어가려 한 것이다.
그러면서 말하기를 “내가 감히 뒤에 떨어져 후군後軍이 되어서 적을 막으려 한 것이 아니라, 말이 앞으로 나아가지 않았기 때문에 〈하는 수 없이 뒤에 오면서 적을 막은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의 [孔曰 魯大夫孟之側]
○正義曰:두예杜預가 “지측之側맹씨孟氏의 종족으로 이다.”라고 한 것이 바로 이 사람이다.
의 [馬曰]에서 [前進]까지
○正義曰:[殿 在軍後 前曰啓 後曰殿] 고찰하건대 《사마법司馬法》 〈모수편謀帥篇〉에 “선봉부대[前驅]가 출발[啓行]하면 병거兵車를 탄 후군後軍[大震]과 부거副車[倅車]가 따른다.”고 하였는데, 대진大震대전大殿(後軍)이다.
음이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대진大震이라 한 것이다.
양공襄公 23년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제후齊侯나라를 토벌할 때, 대전大殿(後軍)은 상자유商子游하지어구夏之御寇의 수레를 몰았다.”고 하였고, 《모시毛詩》 〈소아小雅 유월六月〉에 “원융元戎(큰 병거兵車) 10으로 먼저 길을 떠났다.”고 하였으니, 殿은 군대의 후미에 있는 것이고, 앞에 있는 군대를 라 한다.
고찰하건대 애공哀公 11년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이 일에 대해 말하기를 “나라 군대가 우리나라를 치기 위해 에 집결하니, 맹유자설孟孺子洩우군右軍을 거느리고 염구冉求좌군左軍을 거느리고서 노군魯軍제군齊軍과 노나라 교외에서 교전하였는데, 우군右軍이 도주하니 제군齊軍이 추격하였다.
맹지측孟之側후군後軍이 되어 뒤에 들어왔는데, 화살을 뽑아 그 말에 채찍질을 하면서 ‘말이 앞으로 나아가지 않아서이다.’라고 했다.” 하였다.
글이 같지 않은 것은 각각 들은 바에 의거해 기록하였기 때문이다.


역주
역주1 乘車大震 : 미상이다. 大震은 大殿과 같은 말로 後軍을 뜻하니, 전차부대가 후군이 된다는 말인지, 아니면 후군은 전차를 탄다는 말인지 모르겠다.

논어주소(1) 책은 2021.08.0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