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 子絶四하시니 毋意하시고
[注]以道爲度 故不任意
毋必하시며
[注]用之則行하고 舍之則藏이라 故無專必이라
毋固하시고
[注] 故無固行이라
毋我러시다
[注]述古而不自作하며 處群萃而不自異하고 唯道是從이라
故不有其身이라
[疏]‘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
○正義曰 : 此章論孔子絶去四事, 與常人異也.
毋, 不也. 我, 身也.
常人, 自任己意, 孔子以道爲度, 故不任意.
常人行藏不能隨時, 用舍好自專必, 惟孔子用之則行, 舍之則藏, 不專必也.
常人之情, 可者與之, 不可者拒之, 好堅固其所行也. 孔子則無可無不可, 不固行也.
人多制作自異, 以擅其身, 孔子則述古而不自作, 處群衆萃聚,, 而不自異, 故不有其身也.


께서는 네 가지가 전혀 없으셨으니, 마음대로 생각하지 않으시고,
법도法度로 삼으셨기 때문에 마음대로 생각하지 않으신 것이다.
기필期必하지 않으시고,
등용登用하면 를 행하고 버리면 은퇴隱退하셨기 때문에 마음대로 기필期必함이 없으셨다.
고집固執하지 않으시고,
함도 없고 불가不可함도 없으셨기 때문에 고집固執해 행함이 없으셨다.
자신自身을 내세우지 않으셨다.
옛 것을 전술傳述할 뿐 창작創作하지 않으시며, 군중群衆과 함께 어울리고 스스로 특이하게 행동하지 않으시고 오직 만을 따르셨다.
그러므로 자신을 내세우지 않으셨다.
의 [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
정의왈正義曰 : 이 공자孔子께서 네 가지 일을 끊어버리시어 보통 사람들과 달랐음을 논한 것이다.
이고, 이다.
보통 사람들은 스스로 옳다고 여겨[師心] 의심하면서도 그 일을 계속하여[徇惑] 제 생각대로 행동하지만, 공자께서는 법도法度로 삼으셨기 때문에 마음대로 하지 않으셨다.
보통 사람들은 출사出仕은퇴隱退를 때에 맞게 하지 못하고, 등용되고 버려짐을 마음대로 기필期必하기를 좋아하지만 오직 공자孔子께서는 등용하면 나가서 를 행하고 버리면 물러나 은둔隱遁할 뿐, 마음대로 기필期必하지 않으셨다.
보통 사람들은 교유交遊할 만하면 교유하고 교유할 만하지 못하면 거절하여 자기의 행동을 고집하기를 좋아하지만, 공자孔子께서는 함도 없고 불가不可함도 없으시어 고집固執해 행동하지 않으셨다.
사람들은 대부분 창작을 하고 남달리 행동하여 명성을 독차지하려 하지만 공자孔子께서는 옛 것을 전술傳述할 뿐, 창작創作하지 않으시고, 대중과 함께 어울려 재능을 숨기고 세속과 함께하시어 스스로 특이하게 행동하지 않으셨기 때문에 자신을 내세우지 않으셨다.


역주
역주1 無可無不可 : 사람과 事物을 대함에 있어, 先入見을 가지고서 사물의 可否를 판단하지 않고, 오직 義에 부합하느냐의 여부만으로 가부를 판단하신 孔子의 思想이다.
역주2 師心徇惑 : 師心은 聖賢을 스승으로 삼지 않고 자기 마음을 스승으로 여긴다는 말로, 곧 자신의 생각을 옳게 여김이다. 徇惑은 무슨 말인지 정확히 알지 못하겠으나, 徇은 因循이고 惑은 의심이니, 일의 시비를 분간하지 못해 마음속으로 의심하면서도 그 일을 계속하는 것인 듯하다.
역주3 和光同塵 : 《道德經》 4장에 보이는 말로, 자신의 재능을 숨기고 세속 사람과 어울려 지낸다는 뜻이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