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3. 子問公叔文子於公明賈曰
信乎 夫子不言不笑不取乎
[注]孔曰 公叔文子 衛大夫公孫이라
公明賈對曰
以告者過也니이다
夫子時然後言하니 人不厭其言하며 樂然後笑하니 人不厭其笑하며 義然後取하니 人不厭其取하니이다
子曰
其然
豈其然乎리오
[注]馬曰 美其得道호되 嫌不能悉然이라
[疏]‘子問’至‘然乎’
○正義曰 : 此章言衛大夫公孫之德行也.
‘子問公叔文子於公明賈曰 信乎 夫子不言不笑不取乎’者, 夫子指文子也.
孔子舊聞文子有此三行, 疑而未信,
故問於公明賈曰 “信實乎”
‘公明賈對曰 以告者過也’者, 過, 誤也.
賈對孔子言, 以告者誤云不言不笑不取耳.
‘夫子時然後言 人不厭其言 樂然後笑 人不厭其笑 義然後取 人不厭其取’者,
賈言文子亦有 言笑及取, 但中時然後言, 無游言也, 故人不厭棄其言.
可樂而後笑 不苟笑也, 故人不厭惡其笑也.
見得思義, 合宜然後取之, 不貪取也, 故人不厭倦其取也.
‘子曰 其然 豈其然乎’者, 然, 如此也.
孔子聞賈之言, 驚而美之也.
美其得道,
故曰其如是. 又嫌不能悉然,
故曰 “豈可盡能如此者乎”
[疏]○注‘孔曰 公叔文子 衛大夫公孫(技)[拔] 文 諡’
○正義曰 : 案世本云 獻公生成子當, 當生文子(技)[拔], (技)[拔]生朱, 爲公叔氏.
諡法, “慈惠愛民曰文”


께서 공명가公明賈에게 공숙문자公叔文子〈의 인품〉을 물으셨다.
“참으로 부자夫子는 말하지 않고 웃지 않고 하지 않습니까?”
공왈孔曰 : 공숙문자公叔文子나라 대부大夫 공손발公孫拔이다.
시호諡號이다.
공명가公明賈가 대답하였다.
한 자가 잘못 전한 것입니다.
부자夫子는 때가 된 뒤에 말을 하니 사람들이 그 말을 싫어하지 않으며, 즐거운 뒤에 웃으니 사람들이 그 웃음을 싫어하지 않으며, 도의道義에 부합한 뒤에 취하니 사람들이 그가 취하는 것을 싫어하지 않습니다.”
께서 말씀하셨다.
“그렇습니까?
어찌 그렇겠습니까?”
마왈馬曰 : 그가 도리를 얻은 것을 아름답게 여기시면서도 다 이와 같을 수 없을 것으로 의심하신 것이다.
의 [子問]에서 [然乎]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나라 대부大夫 공손발公孫拔덕행德行을 말한 것이다.
[子問公叔文子於公明賈曰 信乎 夫子不言不笑不取乎] 부자夫子문자文子를 가리킨다.
공자孔子께서 전에 문자文子에게 이러한 세 가지 덕행德行이 있다는 말을 들으셨으나 의심하고 믿지 않으셨다.
그러므로 공명가公明賈에게 “믿을 수 있는 진실이냐?”고 물으신 것이다.
[公明賈對曰 以告者過也] (잘못)이다.
공명가公明賈공자孔子께 “한 자가 ‘말하지 않고 웃지 않고 취하지 않는다.’고 잘못 말하였습니다.”라고 대답한 것이다.
[夫子時然後言 人不厭其言 樂然後笑 人不厭其笑 義然後取 人不厭其取]
공명가公明賈가 “문자文子도 말하고 웃고 취함이 있으나, 때에 맞은 뒤에 말을 하고 유언游言(쓸데없는 말)이 없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 말을 싫어하여 버리지 않고,
즐거운 뒤에 웃고 구차히 웃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 웃음을 싫어하지 않고,
이득利得을 보면 도의를 생각하여 도의에 맞은 뒤에 취하고 탐욕을 부려 취하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가 취하는 것을 싫어하지 않는다.”라고 말한 것이다.
[子曰 其然 豈其然乎] 여차如此이다.
공자孔子께서 공명가公明賈의 말을 들으시고서 놀라 탄미歎美하신 것이다.
그가 를 얻은 것을 아름답게 여기셨다.
그러므로 “그가 이와 같습니까?”라고 하시고, 또 다 이와 같을 수 없을 것으로 의심하셨다.
그러므로 “어찌 다 이와 같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신 것이다.
의 [孔曰 公叔文子 衛大夫公孫拔 文 諡]
정의왈正義曰 : 《세본世本》을 고찰하건대, 헌공獻公성자成子 을 낳고, 문자文子 을 낳고, 를 낳았는데, 공숙씨公叔氏가 되었다.
시법諡法〉에 “인자仁慈하고 은혜로움으로 백성을 사랑하는 것을 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枝)[拔] : 저본에는 ‘枝’로 되어있으나, 阮刻本에 “皇本에는 ‘枝’가 ‘拔’로 되어있다.”라고 한 것에 의거해 ‘拔’로 바로잡았다.
역주2 (技)[拔] : 저본에는 ‘技’로 되어있으나 注의 ‘公孫枝’를 ‘公孫拔’로 교감한 것에 의거하여 ‘拔’로 바로잡았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