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 子曰
吾無間然矣로다
[注]孔曰 孔子推禹功德之盛美하시며 言己不能復間厠其間이라
菲飮食而致孝乎鬼神하시며
[注]馬曰 菲 薄也
致孝鬼神 祭祀豐絜이라
[注]孔曰 損其常服하야 以盛祭服이라
卑宮室而盡力乎溝洫하시니
[注]包曰 方里爲井이라
井間有溝하니 溝廣深四尺이라
十里爲成이라
成間有洫하니 洫廣深八尺이라
吾無間然矣로다
[疏]‘子曰’至‘然矣’
○正義曰 : 此章美夏禹之功德也.
‘子曰 禹 吾無間然矣’者, 間謂間厠.
孔子推禹功德之盛美, 言己不能復間厠其間也.
‘菲飮食而致孝乎鬼神’者, 此下言其無間之三事也.
菲, 薄也. 薄己飮食, 致孝鬼神, 令祭祀之物豐多絜靜也.
‘惡衣服而致美乎黻冕’者, 黻冕, 皆祭服也, 言禹降損其常服, 以盛美其祭服也.
‘卑宮室而盡力乎溝洫’者, 溝洫, 田間通水之道也,
言禹卑下所居之宮室, 而盡力以治田間之溝洫也.
以常人之情, 飮食務於肥濃, 禹則淡薄之, 衣服好其華美, 禹則麤惡之, 宮室多尙高廣, 禹則卑下之.
飮食, 鬼神所享, 故云致孝. 祭服, 備其, 故云致美. 溝洫, 人功所爲, 故云盡力也.
‘禹吾無間然矣’者, 美之深,
故再言之.
[疏]○注 ‘孔曰 損其常服 以盛祭服’
○正義曰 : 鄭玄注此云 “黻, 是祭服之衣. 冕, 其冠也.”
左傳 “”, 亦當然也.
黻, 蔽膝也, 祭服謂之黻, 其他謂之韠.
俱以韋爲之, 制同而色異.
韠, 各從裳色.
黻, 其色皆赤, 尊卑以深淺爲異.
天子純朱, 諸侯黃朱, 大夫赤而已.
大夫以上, 冕服悉皆有黻, 故禹言黻冕,
左傳亦言黻冕. 但冕服自有尊卑耳,
周禮司服云 “服, 祀昊天上帝則服大裘而冕, 祀五帝亦如之, 享先王則袞冕, 享先公‧饗射則鷩冕, 祀四望‧山川則毳冕, 祭社稷‧五祀則希冕, 祭群小祀則玄冕.”
.” 左傳士會黻冕, 當是希冕也.
此禹之黻冕, 則六冕皆是也.
[疏]○注 ‘包曰’至‘八尺’
○正義曰 : ‘方里爲井 井間有溝 溝廣深四尺 十里爲成 成間有洫 洫廣深八尺’者, 案考工記 “匠人爲溝洫,
耜廣五寸, 二耜爲耦.
一耦之伐, 廣尺深尺, 謂之畝. 田首倍之, 廣二尺深二尺, 謂之遂.
九夫爲井, 井間廣四尺深四尺謂之溝.
方十里爲成, 成間廣八尺深八尺謂之洫.
方百里爲同, 同間廣二尋深二仞謂之澮.”
鄭注云 “此畿內采地之制.
爲井, 井者, 方一里, 九夫所治之田也.
采地制井田, 異於鄕遂及公邑.
三夫爲, 屋, 具也.
一井之中, 三屋九夫, 三三相具以出賦稅, 共治溝也.
方十里爲成, 成中容一甸,
甸方八里出田稅, 緣邊一里治洫.
方百里爲同, 同中容四都六十四成,
方八十里出田稅, 緣邊十里治澮.” 是溝洫之法也.


께서 말씀하셨다.
임금은 내가 끼어들 틈이 없도다.
공왈孔曰 : 공자孔子께서 성대盛大하고 아름다운 임금의 공덕功德추앙推仰하시면서 ‘내가 다시 그 사이에 끼어들 틈이 없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자시는〉 음식을 간소히 하시어 귀신鬼神(祭祀)에게 효성孝誠을 다하셨으며,
마왈馬曰 : 이다.
귀신鬼神에게 효성孝誠을 다했다는 것은 제사祭祀에 올리는 음식을 풍성豐盛하고 정결精潔하게 하였다는 말이다.
〈입으시는〉 의복을 허름히 하시어 불면黻冕(祭服)을 더할 수 없이 아름답게 만드셨으며,
공왈孔曰 : 자신의 평상복平常服에 드는 비용을 줄여서 제복祭服성대盛大하게 만든 것이다.
궁실宮室을 낮게 지으시어 구혁溝洫(農地의 수로水路)에 힘을 다하셨으니,
포왈包曰 : 사방四方 1이다.
사이에 가 있으니, 의 넓이와 깊이는 각각 4씩이다.
사방 10이다.
사이에 이 있으니, 의 넓이와 깊이는 각각 8씩이다.
임금은 내가 끼어들 틈이 없도다.”
의 [子曰]에서 [然矣]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하우夏禹공덕功德찬미讚美한 것이다.
[子曰 禹 吾無間然矣] 간측間厠(끼어듦)을 이른다.
공자孔子께서 성대盛大하고 아름다운 임금의 공덕功德추앙推仰하시면서 ‘내가 다시 그 사이에 끼어들 틈이 없다.’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菲飮食而致孝乎鬼神] 이 이하는 공자孔子께서 끼어들 틈이 없는 세 가지 일을 말씀하신 것이다.
이니, 당신이 드시는 음식은 간소하게 하고 귀신鬼神에게는 효성孝誠을 다하여 제물祭物풍성豐盛하고 정결精潔하게 하신 것이다.
[惡衣服而致美乎黻冕] 은 모두 제복祭服이니, 임금께서 당신의 평상복平常服을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을 줄여서 제복祭服을 아름답게 만들었다는 말이다.
[卑宮室而盡力乎溝洫] 구혁溝洫전지田地 사이의 통수로通水路이다.
임금은 자신이 거처居處하는 궁실宮室을 낮게 짓고, 전지田地 사이에 수로水路정비整備하는 일에 힘을 다하였다는 말이다.
사람의 상정常情으로 말하면 누구나 맛난 음식을 먹기를 힘쓰지만 임금은 간소한 음식을 드셨으며, 화려華麗의복衣服을 좋아하지만 임금은 추악麤惡한 의복을 입으셨으며, 높고 넓은 궁실宮室을 숭상하지만 임금은 나지막한 궁실에 사셨다.
음식飮食귀신鬼神흠향歆饗하는 것이므로 ‘효성孝誠을 다하였다.’라고 하였고, 제복祭服채장采章을 갖추는 것이므로 ‘아름다움을 다하였다.’라고 하였으며, 구혁溝洫은 사람의 공력功力으로 만드는 것이므로 ‘힘을 다하였다.’라고 한 것이다.
[禹吾無間然矣] 깊이 찬미讚美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재차再次 말씀하신 것이다.
의 [孔曰 損其常服 以盛祭服]
정의왈正義曰 : 정현鄭玄은 이곳에 주석註釋하기를, “제복祭服의 옷이고, 제관祭冠이다.”라고 하였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진후晉侯의 〈요청으로 주왕周王이〉 사회士會에게 불면黻冕을 내리고서 중군中軍을 거느리도록 명하였다.”라고 한 불면黻冕도 당연히 제의祭衣제관祭冠이었을 것이다.
폐슬蔽膝(무릎을 가리기 위해 허리 아래로 늘이는 천)이니, 제복祭服의 경우 이라고 하고 다른 옷의 경우 이라 한다.
모두 (가죽)로 만드는데, 만드는 방식은 같지만 색깔은 다르다.
은 각각 치마의 색깔에 맞춘다.
은 모두 적색赤色인데, 존비尊卑에 따라 색깔의 농도濃度가 다르다.
천자天子순주색純朱色, 제후諸侯황주색黃朱色, 대부大夫적색赤色이다.
대부大夫 이상은 면복冕服에 모두 을 착용하므로 임금이 ‘불면黻冕’을 하였다고 말한 것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도 ‘불면黻冕’을 말하였으나, 면복冕服에는 본래 존비尊卑의 구별이 있을 뿐이다.
주례周禮》 〈사복司服〉에 “길복吉服은 하늘의 상제上帝에게 제사祭祀 지낼 때는 대구大裘를 입고 면관冕冠을 쓰며, 오제五帝에게 제사 지낼 때도 이와 같이 같이 입고 쓰며, 선왕先王에게 제향祭享할 때는 곤의袞衣를 입고 면관冕冠을 쓰며, 선공先公제향祭享하거나 향사례饗射禮를 거행할 때는 별의鷩衣를 입고 면관冕冠을 쓰며, 사망四望(四方의 명산名山)과 일반 산천山川에 제사 지낼 때는 취의毳衣를 입고 면관冕冠을 쓰며, 사직社稷오사五祀에게 제사 지낼 때는 희의希衣를 입고 면관冕冠을 쓰며, 군소群小의 제사에는 현의玄衣를 입고 면관冕冠을 쓴다.”라고 하였고,
복장服裝희면希冕부터 이하로 〈현면玄冕까지이다.〉”라고 하였으니,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말한 사회士會에게 내린 불면黻冕도 당연히 희면希冕이었을 것이다.
여기에 말한 임금의 불면黻冕은 6종의 면복冕服을 모두 말한 것이다.
의 [包曰]에서 [八尺]까지
정의왈正義曰 : [方里爲井 井間有溝 溝廣深四尺 十里爲成 成間有洫 洫廣深八尺]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를 고찰하건대 “장인匠人을 만든다.
보습[耜]의 너비는 5인데, 두 개의 보습을 한 짝으로 삼는다.
한 짝으로 판 너비 1 깊이 1수로水路라 하고, 밭머리에 너비와 깊이가 이보다 배가 되는 너비 2 깊이 2수로水路라 한다.
아홉 농가農家경작耕作하는 땅이 인데, 사이의 너비 4척 깊이 4척인 수로水路라 한다.
사방四方 10의 땅을 이라 하는데, 사이의 너비 8척 깊이 8척인 수로水路이라고 한다.
사방 100의 땅을 이라 하는데, 사이의 너비 2[16척] 깊이 2[16척]인 수로水路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정현鄭玄이 이곳에 주석註釋하기를 “이것은 기내畿內채지采地에 적용하는 제도制度이다.
9이라 하니, 사방四方 1의 땅으로 아홉 농가農家가 경작하는 전지田地이다.
채지采地정전井田을 만드는 제도制度공읍公邑의 제도와 다르다.
3이라 하는데, [함께함]이다.
1 안에 3 즉 9가 있으니, 9가 함께 경작耕作하여 부세賦稅를 내고 함께 (水路)를 정비한다.
사방四方 10이라 하는데, 안에 1이 포함되어 있다.
1사방四方 8인데, 〈이 사방 8에서 경작하는 농민은〉 전세田稅를 내고, 그 바깥둘레 1에서 〈경작하는 농민은〉 을 정비한다.
사방 100리를 이라 하는데, 안에 사도四都의 64이 포함되어 있다.
사방 80의 땅에서 경작耕作하는 농민은 전세田稅를 내고, 그 바깥둘레 10의 땅에서 경작하는 농민은 를 정비한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이 구혁溝洫제도制度이다.


역주
역주1 惡衣服而致美乎黻冕 : 注에 “平常服을 만드는 데 드는 費用을 줄여, 줄인 비용을 祭服을 성대하게 만드는 데 사용하였다.[損其常服 以盛祭服]”는 뜻으로 해석하였으니, 위의 ‘菲飮食而致孝乎鬼神’도 평소 食材料를 節約하여, 절약한 것을 제사 음식을 풍성하게 장만하는 데 사용하였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하고, 아래의 ‘卑宮室而盡力乎溝洫’도 宮室을 낮게 지어 勞動力을 節約하여, 절약한 노동력을 灌漑水路를 만드는 데 다 썼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할 듯하다.
역주2 采章 : 古代에 신분의 등급을 구별하던 옷의 색깔과 옷에 그린 문양을 이른다.
역주3 晉侯以黻冕命士會 : 《春秋左氏傳》 宣公 16년에 “晉侯가 周王에게 士會의 官職을 올려줄 것을 要請하자, 周王이 士會에게 黻冕을 내리고서 中軍을 거느리도록 命하였다.”고 하였다.
역주4 王之[吉]服……玄冕 : 吉服은 祭服이다. 古代에 王‧公‧大夫의 祭服에는 裘冕‧袞冕‧鷩冕‧毳冕‧希冕‧玄冕 등 6種이 있고, 冕冠에는 12旒‧9旒‧7旒‧5旒‧3旒 등 5種이 있었는데, 服飾에 따라 각기 다른 冕冠을 착용하였다. 裘冕은 12章服에 旒가 없는 冕冠을 쓴다. 12章은 上衣에 日‧月‧星‧山‧龍‧華蟲(꿩)을 그리고, 下裳에 宗彛(호랑이와 원숭이를 그린 두 개의 술잔)‧藻(水草)‧火‧粉米(白米)‧黼(도끼)‧黻(두 ‘己’字가 서로 등지고 있는 모양)을 수놓은 것이다. 袞冕에는 12章服과 9章服이 있는데, 모두 12旒의 면관을 쓴다. 9章은 12章에서 日‧月‧星을 뺀 것이다. 鷩冕은 9章服에서 山과 龍을 뺀 7章服인데, 9旒의 冕冠을 쓴다. 毳冕은 7章服에서 華蟲과 火를 뺀 5章服인데, 7旒의 면관을 쓴다. 希冕은 5章服에서 宗彛와 藻를 뺀 3章服인데, 5旒의 면관을 쓴다. 玄冕은 단지 下裳에 黻 1章만을 수놓은 것인데, 3旒의 면관을 쓴다. 祭祀 지내는 神의 등급에 따라 天子는 裘冕부터 玄冕까지, 公은 袞冕부터 玄冕까지, 侯伯은 鷩冕부터 玄冕까지, 子男은 毳冕부터 玄冕까지, 孤는 希冕부터 玄冕까지를 着用하는데, 모든 冕服은 上衣는 검은색이고 下裳은 분홍색이다.
冕冠의 제도는 길이가 1尺 6寸, 너비가 8촌이고, 앞은 圓形이고 뒤는 方形인데, 五色의 玉을 실에 꿰어 늘어뜨린다. 袞衣의 冕은 12旒인데 玉 288개를 사용하고, 鷩衣의 冕은 9旒인데 玉 216개를, 毳衣의 冕은 7旒인데 玉 168개를, 希衣의 冕은 5旒인데 玉 120개를, 玄衣의 冕은 3旒인데 玉 72개를 사용한다. 《周禮 春官 司服 注疏》 《書蔡氏傳旁通 卷1下 皐陶謨》 《融堂書解 卷18》
역주5 [吉] : 저본에는 없으나, 《周禮》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6 孤之服 自希冕而下 : 孤는 三公의 次席인 少師‧少傅‧少保이다. 自希冕而下는 孤의 冕服은 希冕부터 아래로 玄冕까지라는 말이다.
역주7 : 100畝를 나타내는 토지 면적 단위이다. 古代 중국의 井田制에서 한 農家가 100畝를 받아 경작한 데서 유래하였다. 《周禮》 〈地官 小司徒〉의 “九夫爲井”에 대한 鄭玄의 注에서 《司馬法》을 인용하여 “6尺을 步라 하고, 100步를 畝라 하고, 100畝를 夫라 한다.”라고 하였다.
역주8 : 3夫, 곧 300畝를 나타내는 토지 면적 단위이다. 《周禮》 〈地官 小司徒〉의 “考夫屋”에 대한 鄭玄의 注에 “3夫를 屋이라 하고, 3屋을 井이라 한다.”라고 하였고, 《漢書》 〈食貨志 上〉에 “6尺을 步라 하고, 100步를 畝라 하고, 100畝를 夫라 하고, 3夫를 屋이라 하고, 3屋을 井이라 하니, 1井은 사방 1里로, 9夫이다.”라고 하였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