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1)

논어주소(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子曰
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어든 而衆星共之니라
[注]包曰 德者 猶北辰之不移而衆星共之
[疏]‘子曰’至‘共之’
○正義曰:此章言爲政之要.
‘爲政以德’者, 言爲政之善, 莫若以德.
德者, 得也, 物得以生, 謂之德.
, , 則政善矣.
‘譬如北辰居其所 而衆星共之’者, 譬, 況也.
北極謂之北辰.
北辰常居其所而不移, 故衆星共尊之, 以況人君爲政以德, , 亦衆人共尊之也.
[疏]○注 ‘包曰’至‘共之’
○正義曰:案爾雅釋天云 “北極謂之北辰.”
郭璞曰 “北極, 天之中, 以正四時.” 然則極, 中也, 辰, 時也.
以其居天之中, 故曰北極, 以正四時, 故曰北辰.
漢書天文志曰 “, 其一明者, 之常居也. 旁三星, 三公. 環之匡衛十二星, 藩臣. 皆曰.
斗爲帝車, 運於中央, 臨制四海.
是衆星共之也.


께서 말씀하셨다.
으로써 정치政治를 하는 것이 비유하면 북신北辰이 제자리에 있으면 뭇별들이 공존共尊하는 것과 같다.”
포왈包曰:무위無爲이니, 북신北辰이 〈제자리를 지키고〉 이동移動하지 않으면 뭇별이 공존共尊하는 것과 같다.
의 [子曰]에서 [共之]까지
○正義曰:이 장은 정치를 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을 말한 것이다.
[爲政以德] 정치政治를 하는 데 가장 훌륭한 것으로는 만 한 게 없다는 말이다.
(얻음)이니, 만물萬物이 〈하늘에게〉 얻어서 태어난 것을 이라 한다.
순후淳厚을 버리지 않고 무위화청無爲化淸하면 정치가 훌륭해진다.
[譬如北辰 居其所 而衆星共之] (비유)이다.
북극北極북신北辰이라 한다.
북신北辰이 항상 제 위치에 머물고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뭇별이 공존共尊하니, 이것으로써 임금이 덕으로써 정치를 하여 무위청정無爲淸靜하면 역시 뭇사람이 공존共尊함을 비유한 것이다.
의 [包曰]에서 [共之]까지
○正義曰:상고하건대 《이아爾雅》 〈석천釋天〉에 “북극北極북신北辰이라 한다.”고 하였다.
곽박郭璞은 “북극北極은 하늘의 중앙에 위치하여 사시四時한다[正].”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이고 이다.
하늘의 중앙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북극北極’이라 하고, 사시四時를 정하기 때문에 ‘북신北辰’이라 한 것이다.
한서漢書》 〈천문지天文志〉에 “중궁태극성中宮太極星은 제일 밝은 별로 태일泰一(天帝)이 항상 거주居住하는 곳이고, 그 곁의 세 별은 삼공三公이고, 주위를 둘러싸고서 보호하는 십이성十二星번신藩臣인데, 이를 모두 ‘자궁紫宮’이라 한다.
북두칠성北斗七星은 이른바 ‘선기옥형琁璣玉衡(北斗七星)을 살펴서 칠정七政을 고르게 한다.’는 것이다.
북두北斗제거帝車(皇帝의 수레)가 되어 하늘의 중앙을 운행하면서 사해四海를 감시하고 통제한다.
음양陰陽을 나누고 사시四時를 세우고 오행五行을 균등하게 분배하고 절도節度를 옮기고 제기諸紀를 정하는 것이 모두 북두北斗에 달렸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뭇별이 공존共尊한다.


역주
역주1 無爲 : 儒家의 無爲와 道家의 無爲는 다르다. 도가의 無爲는 마음을 비우고 淸潔하게 가져 모든 일을 自然에 順應하고 일체의 人爲的인 作爲를 하지 않는 것을 이르고, 유가의 無爲는 賢能한 사람을 선발해 適材를 適所에 배치하여, 德治로 사람을 感化시키는 것을 이른다. 包氏는 德을 無爲로, 共을 共尊으로 해석하여, 北辰이 제자리를 지키고 있으면 衆星이 共尊하는 것이 마치 임금이 政治를 德으로 하여 無爲淸淨하면 衆人이 共尊하는 것과 같음을 비유한 것이라고 하였다. 毛奇齡은 《論語稽求篇》에서 이 설을 反駁하며, “無爲의 說은 漢儒가 黃老의 말을 끌어온 것이다. 夫子께서 분명히 ‘爲’라고 하셨으니, 설령 無爲의 정치란 것이 있다 하더라도 이 節에는 결코 맞지 않는다.”고 하였다. 茶山도 《論語古今注》에서 “無爲는 黃老의 說이고 우리 유가의 말이 아니다. 부자께서 분명히 ‘정치를 한다.[爲政]’고 말씀하셨으니, 이를 ‘함이 없는 것[無爲]’으로 해석하는 것은 옳지 않다. 〈衛靈公〉편에 ‘無爲而治’로 舜을 讚揚한 것은 舜이 22인의 賢才를 얻어 각각 職責을 맡겨 天下가 다스려졌기 때문에 舜은 공손한 모습으로 南面하였을 뿐임을 말한 것으로, 治國에는 人才를 얻지 않아서는 안 된다는 것을 力說한 것이다. 그런데 後儒들은 이 글을 잘못 읽고서 드디어 堯舜의 정치는 無爲를 근본으로 삼은 것으로 誤解하였다.”고 하면서 ‘無爲’로 해석한 註釋을 反駁하였다.
역주2 淳德不散 : 《周易》 大畜卦 象辭의 王弼 注에 “令德不散”이란 말이 보이는데, 그 疏에 “道德을 버리지 않는 것이다.[令其道德 不有棄散]”이라고 하였다. 이 疏에 의거하여 不散을 不棄의 뜻으로 번역하였다.
역주3 無爲化淸 : 正確히는 알 수 없으나, 혹 임금이 모든 일을 자연에 순응하고, 일체 作爲를 하지 않음으로써 風俗이 변화하여 깨끗해진다는 말이 아닌지 모르겠다.
역주4 無爲淸靜 : 자연에 순응하고 인위적인 작위를 하지 않고, 雜念을 버리고 마음을 고요하게 가져 백성을 騷亂시키지 않는 道家의 政治思想이다. 儒家의 經을 해석하면서 도가의 사상을 끌어다가 註釋한 것이 옳은 일인지 모르겠다. 老子 《道德經》 〈淳風〉에 “我無爲而民自化 我好靜而民自正”이란 말이 보이는데, 그 注에 “내(임금)가 도를 닦아 作爲하는 바가 없는 하늘을 받들어 따르면 백성들이 저절로 변화하여 훌륭한 風俗이 이루지고, 내가 淸靜을 좋아하여 말하지도 않고 가르치지도 않으면 백성들이 모두 충성스럽고 정직한 사람이 된다는 말이다.[我修道承天無所作爲 而民自化成也 我好靜不言不敎 民皆自忠正也]”라고 하였으니, 靜은 爲政者가 요란스럽게 많은 말을 하거나 많은 敎令(명령)을 내려 백성을 괴롭히지 않는 것이다.
역주5 中宮 : 北極星이 있는 구역을 이른다.
역주6 太極星 : 《史記》와 《漢書》에는 ‘天極星’으로 되어있는데, 太極星과 天極星은 모두 北極星의 別稱이다.
역주7 泰一 : 天帝의 別稱이다.
역주8 紫宮 : 天帝의 宮闕이다.
역주9 北斗七星 : 큰곰자리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국자 모양으로 펼쳐있는 일곱 개의 별을 이른다. 첫째 별을 天樞, 둘째 별을 琁, 셋째 별을 璣, 넷째 별을 權, 다섯째 별을 玉衡, 여섯째 별을 開陽, 일곱째 별을 搖光이라 하는데, 첫째 별부터 넷째 별까지를 斗魁라 하고, 다섯째에서 일곱째 별까지를 斗柄이라 한다.
역주10 琁璣玉衡 以齊七政 : 《尙書》 〈舜典〉에 보인다. 在는 觀察함이고, 琁璣玉衡은 北斗七星이고, 齊는 궤도를 어기지 않음이고, 七政은 日‧月과 金‧木‧水‧火‧土 五星을 이르니, 곧 北斗七星을 관찰하여 日月과 五星의 운행이 軌度를 잃음이 없게 하는 것이다. 陳經의 《尙書詳解》에 “칠정이 常度를 따라 운행하고 差錯이 없는 것이 이른바 齊이다.[七政之運 循其常度 無有差錯 此所謂齊也]”라고 하였으니, 齊는 日月星辰이 正常軌度를 어기지 않음이다. 옛사람들은 임금이 정치를 잘못하면 하늘이 日食이나 月食, 星辰이 궤도를 잃는 災變을 보여 凶兆을 豫示한다고 믿었다. 그러므로 칠정을 관찰하여 궤도를 잃음이 있으면 임금이 정치를 닦아 칠정이 정상궤도로 회복하게 하였다는 뜻이다.
역주11 分陰陽 : 斗柄이 子午線의 한 가운데를 가리키면[建] 地球의 東半部와 西半部가 나뉜다는 말이다.
역주12 建四時 : 古代 曆法에 周天의 度數 360도의 12분의 1을 宮이라 하였으니, 宮은 바로 30도이다. 斗柄이 寅宮의 한가운데를 가리키면 봄(木)이 되고, 巳宮을 가리키면 여름(火)이 되고, 申宮을 가리키면 가을(金)이 되고, 亥宮을 가리키면 겨울(水)이 된다는 말이다.
역주13 均五行 : 斗柄이 네 방향을 각각 90일씩 균등하게 가리켜 五行이 72일씩 宇宙를 주재하게 한다는 말이다. 1년 360일을 五行이 각각 72일씩 균등하게 主宰하는데, 1월 1일부터 3월 12일까지는 木이, 4월 1일부터 6월 12일까지는 火가, 7월 1일부터 9월 12일까지는 金이, 10월 1일부터 12월 12일까지는 木이 주재하고, 四季의 마지막 달의 18일씩은 土가 주재하니, 木‧火‧土‧金‧水가 주재하는 날수가 균등하다.
역주14 移節度 : 斗柄이 寅宮을 가리켜 立春이 된 뒤에 斗柄의 방향이 15도를 옮길 때마다 節氣가 바뀜을 이른다. 斗柄의 방향이 15도씩 옮겨가서 365도의 끝에 이르면 다시 立春이 되니 이것이 절도를 옮김이다.
역주15 定諸紀 : 諸紀를 정한다는 말이다. 諸紀는 《書經》 〈洪範〉에 말한 五紀로 歲‧月‧日‧星辰‧曆數이다. 歲는 四時를 기록함이고, 月은 한 달을 기록함이고, 日은 하루를 기록함이고, 星辰은 28宿가 번갈아 출현하여 節氣가 차례로 바뀌고 12辰에서 해와 달이 서로 만나는 것을 기록함이고, 曆數는 天體를 관측해 推算함이다. 《果堂集 史記北斗齊七政解》

논어주소(1) 책은 2021.08.0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