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1)

논어주소(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하고 三十而立하고
[注]有所成
四十而不惑하고
[注]孔曰 不疑惑이라
五十而知天命하고
[注]孔曰 知天命之終始
六十而耳順하고
[注]鄭曰 耳 聞其言而知其微旨
七十而從心所欲호되 不踰矩호라
[注]馬曰 矩 法也 從心所欲이로되 無非法이라
[疏]‘子曰’至‘踰矩’
○正義曰:此章明夫子隱聖同凡, 所以勸人也.
‘吾十有五而志于學’者, 言成童之歲, 識慮方明, 於是乃志於學也.
‘三十而立’者, 有所成立也.
‘四十而不惑’者, 志强學廣, 不疑惑也.
‘五十而知天命’者, 命, 天之所稟受者也.
孔子四十七學易, 至五十, 窮理盡性, 知天命之終始也.
‘六十而耳順’者, 順, 不逆也, 耳聞其言, 則知其微旨而不逆也.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者, 矩, 法也, 言雖從心所欲而不踰越法度也.
孔子輒言此者, 欲以勉人志學, 而善始令終也.


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15세에 배움에 뜻을 두었고, 30세에 성립成立[樹立]하였고,
성립成立한 바가 있음이다.
40세에 의혹疑惑하지 않았고,
공왈孔曰:의혹疑惑하지 않음이다.
50세에 천명天命을 알았고,
공왈孔曰:천명天命종시終始를 안 것이다.
60세에 말을 들으면 그 말의 은미한 뜻을 알았고,
정왈鄭曰:이순耳順은 그 말을 들으면 그 말의 은미한 뜻을 앎이다.
70세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따랐으되 법도를 넘지 않았다.”
마왈馬曰:이니,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를 따랐으되 법도가 아님이 없었다.
의 [子曰]에서 [踰矩]까지
○正義曰:이 장은 부자夫子께서 성인聖人임을 숨기고서 범인凡人과 같다는 것을 밝히신 것이니, 사람들을 권면하기 위함이시다.
[吾十有五而志于學] 성동成童의 나이가 되어 지식과 사려思慮가 비로소 밝아졌으므로 이에 학문에 뜻을 두었다는 말이다.
[三十而立] 성립成立한 바가 있음이다.
[四十而不惑] 뜻이 강하고 배움이 넓어서 의혹하지 않음이다.
[五十而知天命] 은 하늘에서 받은 〈운명〉이다.
공자께서는 47세에 《》을 배우기 시작하여 50세에 이르러 천하 만물의 을 끝까지 깊이 연구하여 천명天命종시終始를 아셨다.
[六十而耳順] 은 거스르지 않음이니, 귀로 말을 들으면 그 말의 은미한 뜻을 알아 〈귀에〉 거슬리지 않음이다.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이니, 비록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를 따랐어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는 말이다.
공자孔子께서 문득 이렇게 말씀하신 것은 사람들에게 학문에 뜻을 두어 처음부터 끝까지 잘하도록 권면하고자 해서이다.


역주
역주1 [立] : 저본에는 ‘立’이 없으나, 阮刻本에 “皇本에는 ‘成’자 밑에 ‘立’자가 있다.” 한 것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2 [順] : 저본에는 ‘順’이 없으나, 阮刻本에 “皇本에는 ‘耳’자 아래에 ‘順’자가 있다.” 한 것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논어주소(1) 책은 2021.08.0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