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2)

논어주소(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9. 子張問善人之道한대 子曰
不踐迹이나 亦不入於室이니라
[注]孔曰 踐 循也
言善人不但循追舊迹而已
亦少能創業이라
然亦不入於聖人之奧室이라
子曰
論篤是與
君子者乎
色莊者乎
[注]論篤者 謂口無擇言이라
君子者 謂身無鄙行이요
色莊者 不惡而嚴하야 以遠小人이라
言此三者 皆可以爲善人이라
[疏]‘子張’至‘者乎’
○正義曰 : 此章論善人所行之道也.
‘子張問善人之道’者, 問行何道, 可謂善人.
‘子曰 不踐迹 亦不入於室’者, 孔子答其善人之道也.
踐, 循也.
迹, 已行舊事之言.
善人不但循追舊迹而已, 當自立功立事也,
而善人好謙, 亦少能創業,
故亦不能入於聖人之奧室也.
‘子曰 論篤是與 君子者乎 色莊者乎’者, 此亦善人之道也,
故同爲一章.
當是異時之語, 故別言‘子曰’也.
‘論篤是與’者, 篤, 厚也.
謂口無擇言, 所論說皆重厚, 是善人與.
‘君子者乎’者, 言身無鄙行之君子, 亦是善人乎.
‘色莊者乎’者, 言能顔色莊嚴, 使小人畏威者, 亦是善人乎.
孔子謙不正言,
故云與乎以疑之也.
[疏]○注 ‘論篤’至‘善人’
○正義曰 : 云‘口無擇言’ 孝經文也.
所言皆善, 故無可擇也.
云‘身無鄙行’者, 所以竝美, 無鄙惡也.
‘以遠小人 不惡而嚴’者, 周易遯卦象辭也.


자장子張선인善人를 묻자, 께서 말씀하셨다.
“옛 자취를 따르지 않으나, 또한 성인聖人의 방에 들어가지 못한다.”
공왈孔曰 : (따름)이다.
선인善人은 옛 자취를 따르는 데 그치지 않고 〈마땅히 공업功業을 세워야 한다.
그러나 선인善人겸양謙讓을 좋아하기 때문에〉 창업創業하는 이가 드물다.
그러므로 성인聖人오실奧室(깊숙한 거실居室. 곧 성인聖人경지境地)에 들어가지는 못한다는 말이다.
께서 말씀하셨다.
언론言論돈후敦厚하면 〈선인善人〉일까?
군자君子다운 사람일까?
얼굴빛이 장엄莊嚴한 사람일까?”
논독論篤은 입에 가릴 말이 없는 것을 이른다.
군자자君子者는 몸에 비루鄙陋한 행실이 없는 것을 이른다.
색장자色莊者증오憎惡하지 않아도 위엄이 있어 소인小人을 멀리하는 자이다.
이 세 종류의 사람은 모두 선인善人이라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의 [子張]에서 [者乎]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장은 선인善人이 행하는 를 논한 것이다.
[子張問善人之道] 어떤 를 행하여야 선인善人이라고 이를 수 있느냐고 물은 것이다.
[子曰 不踐迹 亦不入於室] 공자孔子께서 〈자장子張에게〉 선인善人를 대답해주신 것이다.
(따름)이다.
은 이미 행한 옛일을 이르는 말이다.
선인善人은 옛 자취를 따르는 데 그치지 않고, 마땅히 공업功業을 세워야 한다.
그러나 선인善人겸양謙讓을 좋아하기 때문에 창업創業하는 이가 드물다.
그러므로 성인의 경지에 들어가지는 못한다.
[子曰 論篤是與 君子者乎 色莊者乎] 이 또한 선인善人이다.
그러므로 한 으로 만든 것이다.
〈그러나 이 말씀이 위에 자장子張에게 일러주신 말씀과〉 동시同時에 하신 말씀이 아니기 때문에 구별하기 위해 ‘자왈子曰’을 덧붙인 것이다.
[論篤是與] 이다.
입에 가릴 말이 없는 것을 이르니, 논설論說이 모두 중후重厚한 자가 선인善人일까라는 말이다.
[君子者乎] 몸에 비루한 행실이 없는 군자君子 또한 선인善人일까라는 말이다.
[色莊者乎] 안색顔色장엄莊嚴하여 소인小人으로 하여금 위엄을 두려워하게 하는 자 또한 선인善人일까라는 말이다.
공자孔子께서는 겸손하시어 단정해 말씀하지 않으셨다.
그러므로 ‘’字와 ‘’字를 붙여 확정하지 않으신 것이다.
의 [論篤]에서 [善人]까지
정의왈正義曰 : [口無擇言] 《효경孝經》의 글이다.
하는 말이 모두 하기 때문에 가릴 말이 없는 것이다.
[身無鄙行] 행위가 모두 아름다워 비루한 악행이 없는 것이다.
[以遠小人 不惡而嚴] 《주역周易둔괘遯卦상사象辭이다.



논어주소(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