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1)

논어주소(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 子曰
賢哉
回也
一簞食 一瓢飮으로
[注]孔曰 簞 笥也
在陋巷 人不堪其憂어늘 回也不改其樂하니 賢哉
回也
[注]孔曰 顔淵樂道하야 雖簞食在陋巷이나 不改其所樂이라
[疏]‘子曰’至‘回也’
○正義曰:此章歎顔回之賢,
故曰 “賢哉 回也.”
云 “一簞食 一瓢飮”者, 簞, 竹器, 食, 飯也, 瓢, 瓠也. 言回家貧, 唯有一簞飯‧一瓠瓢飮也.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者, 言回居處又在隘陋之巷, 他人見之, 不任其憂, 唯回也, 不改其樂道之志, 不以貧爲憂苦也.
歎美之甚, 故又曰 “賢哉 回也.”
[疏]○注 ‘孔曰 簞 笥也’
○正義曰:案鄭注曲禮云 “圓曰簞, 方曰笥.” 然則簞與笥, 方圓異,
而此云 ‘簞, 笥‘者, 以其俱用竹爲之, 擧類以曉人也.


께서 말씀하셨다.
“어질도다.
안회顔回여!
한 대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로
공왈孔曰:(대를 엮어 만든 밥을 담는 그릇)은 (밥을 담는 대그릇)이다.
더러운 골목에서 사는 것을 사람들은 그 근심을 견디지 못하는데, 안회는 그 즐거움을 바꾸지 않으니 어질도다.
안회여!”
공왈孔曰:안연顔淵은 도를 즐겨 비록 대그릇의 밥을 먹으며 더러운 골목에 살았으나, 자기가 즐기는 바를 바꾸지 않은 것이다.
의 [子曰]에서 [回也]까지
○正義曰:이 장은 안회顔回의 어짊을 찬미한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賢哉 회야回也”라고 하신 것이다.
[一簞食 一瓢飮] 은 대그릇이고, 는 밥이고, 는 표주박이니, 안회의 집이 가난하여 오직 한 대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만이 있을 뿐이었다는 말이다.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안회가 사는 집이 또 좁고 더러운 골목에 있었으니, 다른 사람이 이런 형편을 당한다면 근심을 견디지 못할 텐데, 안회만은 도를 즐기는 뜻을 바꾸지 않고 가난을 근심과 괴로움으로 여기지 않았다는 말이다.
매우 찬미하셨기 때문에 또 “현재賢哉 회야回也”라고 하신 것이다.
의 [孔曰 簞 笥也]
○正義曰:고찰하건대 《예기禮記》 〈곡례曲禮 정현鄭玄에 “원형圓形이라 하고, 방형方形라 한다.”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방원方圓이 다른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 “이다.”라고 한 것은 모두 대나무를 사용해 만든 것이므로 유사한 것을 들어 사람들을 깨우친 것이다.



논어주소(1) 책은 2021.08.0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