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子貢이 問曰 孔文子를() 何以謂之文也ㅣ잇고(ㅣ니잇고) 子[ㅣ] 曰 敏而好學며 不恥下問이라(니) 是以謂之文也ㅣ니라
注
孔文子는 衛大夫니 名圉라 凡人性敏者는 多不好學하고 位高者는 多恥下問이라 故로 諡法에 有以勤學好問爲文者하니 蓋亦人所難也라 孔圉得諡爲文은 以此而已니라 ○ 蘇氏曰 孔文子使太叔疾로 出其妻而妻之러니 疾이 通於初妻之娣어늘 文子怒하여 將攻之할새 訪於仲尼한대 仲尼不對하시고 命駕而行하시다 疾이 奔宋한대 文子使疾弟遺로 室孔姞하니라 其爲人如此로되 而諡曰文하니 此子貢之所以疑而問也라 孔子不沒其善하사 言能如此면 亦足以爲文矣라하시니 非經天緯地之文也니라
[James Legge] Tsze-kung asked, saying, “On what ground did Kung-wan get that title of WAN?” The Master said, “He was of an active nature and yet fond of learning, and he was not ashamed to ask and learn of his inferiors! -- On these grounds he has been styled WAN.”
14. 자공(子貢)이 물었다. “공문자(孔文子)를 무엇 때문에 ‘문(文)’이라고 시호(諡號)하였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명민(明敏)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였으며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문(文)이라 시호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