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子游ㅣ 爲武城宰러니(어) 子[ㅣ] 曰 女ㅣ 得人焉爾乎아 曰 有澹臺滅明者니 行不由徑며 非公事ㅣ어든 未嘗至於偃之室也닝이다(ㅣ러이다)
注
武城은 魯下邑이라 澹臺는 姓이요 滅明은 名이니 字子羽라 徑은 路之小而捷者라 公事는 如飮射讀法之類라 不由徑이면 則動必以正하여 而無見小欲速之意를 可知요 非公事어든 不見邑宰면 則其有以自守하여 而無枉己徇人之私를 可見矣니라 ○ 楊氏曰 爲政은 以人才爲先이라 故로 孔子以得人爲問하시니 如滅明者는 觀其二事之小면 而其正大之情을 可見矣라 後世에 有不由徑者면 人必以爲迂하고 不至其室이면 人必以爲簡하리니 非孔氏之徒면 其孰能知而取之리오 愚謂 持身을 以滅明爲法이면 則無苟賤之羞요 取人을 以子游爲法이면 則無邪媚之惑이니라
[James Legge] Tsze-yû being governor of Wû-ch'ang, the Master said to him, “Have you got good men there?” He answered, “There is Tan-t'âi Mieh-ming, who never in walking takes a short cut, and never comes to my office, excepting on public business.”
12. 자유(子游)가 무성(武城)의 읍재(邑宰)가 되었는데, 공자(孔子)께서 “너는 거기에서 인물을 얻었느냐?” 하고 물으시자, 자유(子游)가 대답하였다. “담대멸명(澹臺滅明)이라는 자가 있습니다. 그는 길을 갈 때도 지름길로 다니지 않으며 공적(公的)인 일[公事]이 아니면 일찍이 저의 집에 이른 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