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8. 互鄕은(이) 難與言이러니 童子ㅣ()커 門人대
互鄕 鄕名이니 其人 習於不善하여 難與言善이라 惑者 疑夫子不當見之也
[ㅣ] 曰 與其進也ㅣ오 不與其退也ㅣ니 唯何甚이리오 潔己以進이어든 與其潔也ㅣ오 不保其往也ㅣ며
疑此章有錯簡하니 人潔至往也十四字 當在與其進也之前이라 修治也 許也 前日也 言人潔己而來 但許其能自潔耳 固不能保其前日所爲之善惡也 但許其進而來見耳 非許其旣退而爲不善也 蓋不追其旣往하고 不逆其將來하여 以是心至 斯受之耳 唯字上下 疑又有闕文하니 大抵亦不爲已甚之意니라 ○ 程子曰 聖人待物之洪 如此시니라


[James Legge] It was difficult to talk (profitably and reputably) with the people of Hû-hsiang, and a lad of that place having had an interview with the Master, the disciples doubted.
28.호향(互鄕) 사람과는 함께 말하기가 어려웠는데, 호향(互鄕)의 동자(童子)가 공자(孔子)를 찾아와 뵈니, 문인(門人)들이 이상하게 생각하였다.
[James Legge] The Master said, “I admit people's approach to me without committing myself as to what they may do when they have retired. Why must one be so severe? If a man purify himself to wait upon me, I receive him so purified, without guaranteeing his past conduct.”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자신의 잘못을 깨끗이 하고서 찾아오면 현재의 깨끗한 것을 인정해줄 뿐이요 지난날의 잘못까지 보장할 수는 없으며, 그 찾아온 것을 인정할 뿐 물러간 뒤에 잘못하는 것을 허여하는 것은 아니니, 어찌 심하게 대할 것이 있겠는가?”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