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子張이 問明대 子[ㅣ] 曰 浸潤之譖과 膚受之愬ㅣ 不行焉이면 可謂明也已矣니라(며) 浸潤之譖과 膚受之愬ㅣ 不行焉이면 可謂遠也已矣니라
注
浸潤은 如水之浸灌滋潤하여 漸漬而不驟也라 譖은 毁人之行也라 膚受는 謂肌膚所受利害切身이니 如易所謂剝床以膚니 切近災者也라 愬는 愬己之冤也라 毁人者漸漬而不驟면 則聽者不覺其入而信之深矣요 愬冤者急迫而切身이면 則聽者不及致詳而發之暴矣라 二者는 難察而能察之면 則可見其心之明而不蔽於近矣니라 此亦必因子張之失而告之라 故로 其辭繁而不殺하여 以致丁寧之意云이라 ○ 楊氏曰 驟而語之와 與利害不切於身者 不行焉은 有不待明者能之也라 故로 浸潤之譖과 膚受之愬 不行然後에 謂之明이요 而又謂之遠이니 遠則明之至也라 書曰 視遠惟明이라하니라
[James Legge] Tsze-chang asked what constituted intelligence. The Master said, “He with whom neither slander that gradually soaks into the mind, nor statements that startle like a wound in the flesh, are successful, may be called intelligent indeed. Yea, he with whom neither soaking slander, nor startling statements, are successful, may be called farseeing.”
6. 자장(子張)이 현명함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물이 서서히 젖어드는 듯한 은근한 참소와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절박한 하소연이 행해지지 않는다면 현명하다고 이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