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子[ㅣ] 曰 禮云禮云이나(인) 玉帛云乎哉아 樂云樂云이나(인) 鍾鼓云乎哉아
注
敬而將之以玉帛則爲禮요 和而發之以鍾鼓則爲樂이라 遺其本而專事其末이면 則豈禮樂之謂哉리오 ○ 程子曰 禮는 只是一箇序요 樂은 只是一箇和니 只此兩字가 含蓄多少義理라 天下에 無一物無禮樂하니 且如置此兩椅에 一不正이면 便是無序요 無序면 便乖요 乖면 便不和라 又如盜賊이 至爲不道나 然이나 亦有禮樂하니 蓋必有總屬하여 必相聽順이라야 乃能爲盜요 不然이면 則叛亂無統하여 不能一日相聚而爲盜也라 禮樂은 無處無之하니 學者要須識得이니라
[언해] ㅣ 샤 례라 닐며 례라 닐나 옥을 닐랴 악이라 닐며 악이라 닐나 고를 닐랴
[James Legge] The Master said, “‘It is according to the rules of propriety,’ they say. -- ‘It is according to the rules of propriety,’ they say. Are gems and silk all that is meant by propriety? ‘It is music,’ they say. -- ‘It is music,’ they say. Are bells and drums all that is meant by music?”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예(禮), 예(禮) 하지만, 어찌 옥(玉)과 비단을 이르는 것이겠는가? 음악, 음악이다 하지만, 어찌 종(鍾)과 북을 이르는 것이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