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 子[ㅣ] 曰 禮云禮云이나(인) 玉帛云乎哉 樂云樂云이나(인) 鍾鼓云乎哉
敬而將之以玉帛則爲禮 和而發之以鍾鼓則爲樂이라 遺其本而專事其末이면 則豈禮樂之謂哉리오 ○ 程子曰 禮 只是一箇序 只是一箇和 只此兩字 含蓄多少義理 天下 無一物無禮樂하니 且如置此兩椅 一不正이면 便是無序 無序 便乖 便不和 又如盜賊 至爲不道이나 亦有禮樂하니 蓋必有總屬하여 必相聽順이라야 乃能爲盜 不然이면 則叛亂無統하여 不能一日相聚而爲盜也 禮樂 無處無之하니 學者要須識得이니라


[언해] ㅣ 샤 례라 닐며 례라 닐나 옥을 닐랴 악이라 닐며 악이라 닐나 고를 닐랴
[James Legge] The Master said, “‘It is according to the rules of propriety,’ they say. -- ‘It is according to the rules of propriety,’ they say. Are gems and silk all that is meant by propriety? ‘It is music,’ they say. -- ‘It is music,’ they say. Are bells and drums all that is meant by music?”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예(禮), 예(禮) 하지만, 어찌 옥(玉)과 비단을 이르는 것이겠는가? 음악, 음악이다 하지만, 어찌 종(鍾)과 북을 이르는 것이겠는가?”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