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哀公이 問 弟子ㅣ 孰爲好學이닝잇고(이니잇고) 孔子ㅣ 對曰 有顔回者ㅣ 好學야 不遷怒며 不貳過더니 不幸短命死矣라 今也則亡니 未聞好學者也켕이다(케이다)
注
遷은 移也요 貳는 復也니 怒於甲者를 不移於乙하고 過於前者를 不復於後라 顔子克己之功이 至於如此하니 可謂眞好學矣라 短命者는 顔子三十二而卒也라 旣云今也則亡하고 又言未聞好學者는 蓋深惜之하시고 又以見眞好學者之難得也시니라 ○ 程子曰 顔子之怒 在物不在己라 故로 不遷이요 有不善이면 未嘗不知하시고 知之면 未嘗復行하시니 不貳過也니라 又曰 喜怒在事면 則理之當喜怒者也요 不在血氣면 則不遷이라 若舜之誅四凶也에 可怒在彼하니 己何與焉이리오 如鑑之照物에 姸媸在彼하여 隨物應之而已니 何遷之有리오 又曰 如顔子地位 豈有不善이리오 所謂不善은 只是微有差失이니 纔差失이면 便能知之요 纔知之면 便更不萌作이니라 張子曰 慊於己者를 不使萌於再니라 或曰 詩書六藝를 七十子非不習而通也로되 而夫子獨稱顔子爲好學하시니 顔子之所好는 果何學歟아 程子曰 學以至乎聖人之道也니라 學之道奈何오 曰 天地儲精에 得五行之秀者爲人이니 其本也眞而靜이라 其未發也에 五性具焉하니 曰仁義禮智信이요 形旣生矣에 外物이 觸其形而動於中矣라 其中動而七情出焉하니 曰喜怒哀懼愛惡欲이니 情旣熾而益蕩하면 其性이 鑿矣라 故로 覺者는 約其情하여 使合於中하고 正其心하여 養其性而已라 然이나 必先明諸心하여 知所往이니 然後에 力行以求至焉이라 若顔子之非禮勿視聽言動과 不遷怒貳過者는 則其好之篤而學之得其道也라 然이나 其未至於聖人者는 守之也요 非化之也니 假之以年이면 則不日而化矣리라 今人이 乃謂聖本生知요 非學可至라하여 而所以爲學者 不過記誦文辭之間하니 其亦異乎顔子之學矣로다
[James Legge] The Duke Ai asked which of the disciples loved to learn. Confucius replied to him, “There was Yen Hûi; HE loved to learn. He did not transfer his anger; he did not repeat a fault. Unfortunately, his appointed time was short and he died; and now there is not such another. I have not yet heard of any one who loves to learn as he did.”
2. 애공(哀公)이 “제자 중에 누가 배우기를 좋아합니까?” 하고 묻자,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안회(顔回)라는 제자가 배우기를 좋아하여 노여움을 남에게 옮기지 않고 같은 잘못을 다시 되풀이하지 않았는데, 불행히 명(命)이 짧아 죽었습니다. 지금은 없으니, 아직 배우기를 좋아하는 자가 있다는 말을 듣지 못하였습니다.”
1
2. 애공이 문 제자 …
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