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或[이] 問子産대(대) 子[ㅣ] 曰 惠人也ㅣ니라
注
子産之政이 不專於寬이나 然이나 其心則一以愛人爲主라 故로 孔子以爲惠人이라하시니 蓋擧其重而言也니라
注
子西는 楚公子申이니 能遜楚國하고 立昭王하여 而改紀其政하니 亦賢大夫也라 然이나 不能革其僭王之號하고 昭王이 欲用孔子에 又沮止之하며 其後에 卒召白公하여 以致禍亂하니 則其爲人을 可知矣라 彼哉者는 外之之詞라
問管仲대 曰 人也ㅣ 奪伯氏騈邑三百여늘(니) 飯疏食(호) 沒齒[호] 無怨言니라
注
人也는 猶言此人也라 伯氏는 齊大夫라 騈邑은 地名이라 齒는 年也라 蓋桓公이 奪伯氏之邑하여 以與管仲하니 伯氏自知己罪而心服管仲之功이라 故로 窮約以終身이나 而無怨言이라 荀卿所謂與之書社三百에 而富人莫之敢拒者가 卽此事也니라 ○ 或問 管仲子産孰優니잇고 曰 管仲之德은 不勝其才하고 子産之才는 不勝其德이라 然이나 於聖人之學엔 則槪乎其未有聞也니라
10. 혹자가 자산(子産)의 인품(人品)을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은혜로운 사람이다.”
[James Legge] Some one asked about Tsze-ch'ân. The Master said, “He was a kind man.”
자서(子西)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사람, 그 사람……”
[James Legge] He asked about Tsze-hsî. The Master said, “That man! That man!”
관중(管仲)에 대해서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사람이 백씨(伯氏)의 변읍(騈邑) 3백 호(戶)를 빼앗았는데, 백씨(伯氏)가 거친 밥을 먹으면서도 평생 동안 원망하는 말이 없었다.”
[James Legge] He asked about Kwan Chung. “For him,” said the Master, “the city of Pien, with three hundred families, was taken from the chief of the Po family, who did not utter a murmuring word, though, to the end of his life, he had only coarse rice to 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