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定公이 問 君使臣며 臣事君호 如之何ㅣ잇고(ㅣ리잇고) 孔子ㅣ 對曰 君使臣以禮며(오) 臣事君以忠이닝이다(이니이다)
注
定公은 魯君이니 名宋이라 二者는 皆理之當然이니 各欲自盡而已니라 ○ 呂氏曰 使臣에 不患其不忠이요 患禮之不至하며 事君에 不患其無禮요 患忠之不足이니라 尹氏曰 君臣은 以義合者也라 故로 君使臣以禮면 則臣事君以忠이니라
정공(定公)이 물었다. “임금이 신하를 부리고, 신하가 임금을 섬기는 것을 어떻게 해야 합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임금은 신하를 예(禮)로써 부리고, 신하는 임금을 충성으로써 섬겨야 합니다.”
[언해] 定公이 묻子오 君군이 臣신을 브리며 臣신이 君군을 셤교 엇디 잇고 孔子ㅣ 對야 샤 君군이 臣신을 브료 禮례로 며 臣신이 君군을 셤교 忠으로 홀띠이다
[James Legge] The duke Ting asked how a prince should employ his ministers, and how ministers should serve their prince. Confucius replied, “A prince should employ his minister according to according to the rules of propriety; ministers should serve their prince with faithfulness.”
1
19. 정공이 문 군사…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