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子夏ㅣ 問曰 巧笑倩兮며 美目盼兮여 素以爲絢兮라니 何謂也ㅣ잇고
注
此는 逸詩也라 倩은 好口輔也요 盼은 目黑白分也라 素는 粉地니 畫之質也요 絢은 采色이니 畫之飾也라 言人有此倩盼之美質하고 而又加以華采之飾이니 如有素地而加采色也라 子夏疑其反謂以素爲飾이라 故로 問之하니라
注
繪事는 繪畫之事也라 後素는 後於素也라 考工記曰 繪畫之事後素功이라하니 謂先以粉地爲質而後에 施五采하니 猶人有美質然後에 可加文飾이라
曰 禮ㅣ 後乎뎌(ㅣ잇가) 子ㅣ 曰 起予者 商也ㅣ로다(ㅣ라) 始可與言詩已矣로다
注
禮는 必以忠信爲質이니 猶繪事必以粉素爲先이라 起는 猶發也니 起予는 言能起發我之志意라 謝氏曰 子貢은 因論學而知詩하고 子夏는 因論詩而知學이라 故로 皆可與言詩니라 ○ 楊氏曰 甘受和하고 白受采하고 忠信之人이라야 可以學禮라 苟無其質이면 禮不虛行이니 此繪事後素之說也라 孔子曰 繪事後素라하신대 而子夏曰 禮後乎인저하니 可謂能繼其志矣로다 非得之言意之表者면 能之乎아 商賜可與言詩者는 以此라 若夫玩心於章句之末이면 則其爲詩也固而已矣니라 所謂起予는 則亦相長之義也니라
[언해] 子夏하ㅣ 묻子와 오 巧교 笑쇼ㅣ 倩쳔며 美미 目목이 盼변홈이여 素소로 絢현을 다 니 엇디 닐옴이잇고
[James Legge] Tsze-hsiâ asked, saying, “What is the meaning of the passage -- ‘The pretty dimples of her artful smile! The well-defined black and white of her eye! The plain ground for the colors?’”
자하(子夏)가 물었다. 《시경》에 “‘예쁜 웃음에 보조개가 예쁘며, 아름다운 눈에 눈동자가 선명함이여! 흰 비단으로 채색을 한다.’ 하였으니, 이 시는 무엇을 말한 것입니까?”
[James Legge] The Master said, “The business of laying on the colors follows (the preparation of) the plain ground.”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비단을 마련한 뒤에 한다는 뜻이다.”
[James Legge] “Ceremonies then are a subsequent thing?” The Master said, “It is Shang who can bring out my meaning. Now I can begin to talk about the odes with him.”
자하(子夏)가 “바탕인 충신(忠信)이 먼저이고, 형식인 예(禮)가 그 뒤이겠군요.” 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를 일으키는 자는 자하(子夏)로구나! 이제 함께 시(詩)를 말할 만하구나.”
1
8. 자하문왈 교소천 …
302
2
8. 자하문왈 교소천 …
153
3
8. 자하문왈 교소천 …
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