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季文子ㅣ 三思而後[에] 行더니(이러니) 子ㅣ 聞之[시고] 曰 再[ㅣ] 斯可矣ㅣ니라(니라)
注
季文子는 魯大夫니 名行父라 每事를 必三思而後에 行하니 若使晉而求遭喪之禮以行이 亦其一事也라 斯는 語辭라 程子曰 爲惡之人은 未嘗知有思하나니 有思則爲善矣라 然이나 至於再則已審이요 三則私意起而反惑矣라 故로 夫子譏之하시니라 ○ 愚按 季文子慮事如此하니 可謂詳審而宜無過擧矣로되 而宣公簒立에 文子乃不能討하고 反爲之使齊而納賂焉하니 豈非程子所謂私意起而反惑之驗歟아 是以로 君子務窮理而貴果斷이요 不徒多思之爲尙이니라
[James Legge] Chî Wan thought thrice, and then acted. When the Master was informed of it, he said, “Twice may do.”
19. 노(魯)나라 대부 계문자(季文子)가 모든 일을 세 번 생각한 뒤에 행하였는데, 공자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말씀하셨다. “두 번이면 된다.”
1
19. 계문자삼사이후…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