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 子游[ㅣ] 曰 子夏之門人小子 當灑掃應對進退(앤) 則可矣나(어니와) 抑末也ㅣ라 本之則無니(ㅣ니) 如之何
子游譏子夏弟子 於威儀容節之間則可矣이나 小學之末耳 推其本인댄 如大學正心誠意之事則無有니라
子夏 聞之 曰 噫 言游 過矣로다 君子之道 孰先傳焉이며(이오) 孰後倦焉이리오 譬諸草木건대 區以別矣니(라) 君子之道 焉可誣也ㅣ리오 有始有卒者 其惟聖人乎뎌
如誨人不倦之倦이라 猶類也 言君子之道 非以其末爲先而傳之 非以其本爲後而倦敎 但學者所至 自有淺深하니 如草木之有大小하여 其類固有別矣 若不量其淺深하고 不問其生熟하고 而槪以高且遠者 强而語之 則是誣之而已 君子之道 豈可如此리오 若夫始終本末 一以貫之 則惟聖人爲然이니 豈可責之門人小子乎 ○ 程子曰 君子敎人有序하여 先傳以小者近者而後 敎以大者遠者 非先傳以近小而後 不敎以遠大也니라 又曰 灑掃應對 便是形而上者 理無大小故也 君子只在謹獨이니라 又曰 聖人之道 更無精粗하니 從灑掃應對與精義入神 貫通只一理 雖灑掃應對라도 只看所以然如何니라 又曰 凡物 有本末이나 不可分本末爲兩段事 灑掃應對是其然이니 必有所以然이니라 又曰 自灑掃應對上이면 便可到聖人事니라 愚按 程子第一條 說此章文意 最爲詳盡이요 其後四條 皆以明精粗本末 其分雖殊 而理則一이니 學者當循序而漸進이요 不可厭末而求本이라 蓋與第一條之意 實相表裏하니 非謂末卽是本이라 但學其末而本便在此也니라


[James Legge] Tsze-yû said, “The disciples and followers of Tsze-hsiâ, in sprinkling and sweeping the ground, in answering and replying, in advancing and receding, are sufficiently accomplished. But these are only the branches of learning, and they are left ignorant of what is essential. -- How can they be acknowledged as sufficiently taught?”
12. 자유(子游)가 말하였다. “자하(子夏)의 제자(弟子)들은 물뿌리고 청소하며 응대(應對)하고 진퇴(進退)하는 예절을 당해서는 괜찮지만 이는 지엽적인 일이다. 근본적인 것은 없으니, 어찌하겠는가?”
[James Legge] Tsze-hsiâ heard of the remark and said, “Alas! Yen Yû is wrong. According to the way of the superior man in teaching, what departments are there which he considers of prime importance, and delivers? what are there which he considers of secondary importance, and allows himself to be idle about? But as in the case of plants, which are assorted according to their classes, so he deals with his disciples. How can the way of a superior man be such as to make fools of any of them? Is it not the sage alone, who can unite in one the beginning and the consummation of learning?”
자하(子夏)가 듣고서 말하였다. “아, 언유(言游)의 말이 지나치다. 군자(君子)의 도(道)에 어느 것을 먼저라 하여 가르치고 어느 것을 뒤라 하여 게을리하겠는가? 초목(草木)에 비유하면 초목이 갖가지 종류로 구별되는 것과 같으니, 군자(君子)의 도(道)를 어찌 속일 수 있겠는가? 처음과 끝을 구비한 것은 오직 성인(聖人)뿐이실 것이다.”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