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 曾子 有疾이어시 孟敬子 問之러니(대)
孟敬子 魯大夫仲孫氏 名捷이라 問之者 問其疾也
曾子 言曰 鳥之將死 其鳴也고 人之將死 其言也이니라
自言也 鳥畏死 鳴哀하고 人窮反本이라 言善이라 曾子之謙辭 欲敬子知其所言之善而識之也
君子 所貴乎道者이니 動容貌 斯遠暴慢矣 正顔色 斯近信矣 出辭氣 斯遠鄙倍矣 籩豆之事() 則有司[ㅣ]이니라
猶重也 容貌 擧一身而言이라 粗厲也 放肆也 實也 正顔色而近信이면 則非色莊也 言語 聲氣也 凡陋也 與背同하니 謂背理也 竹豆 木豆 言道雖無所不在이나 君子所重者 在此三事而已 是皆修身之要 爲政之本이니 學者所當操存省察이요 而不可有造次顚沛之違者也 若夫籩豆之事 器數之末이니 道之全體 固無不該이나 其分則有司之守 而非君子之所重矣 程子曰 動容貌 擧一身而言也 周旋中禮 暴慢斯遠矣 正顔色이면 則不妄이니 斯近信矣 出辭氣 正由中出이면 斯遠鄙倍 三者 正身而不外求 曰 籩豆之事則有司存이라하시니라 尹氏曰 養於中이면 則見於外 曾子蓋以修己 爲爲政之本하시니 若乃器用事物之細 則有司存焉이니라


[언해] 曾子ㅣ 疾질이 잇거시 孟敬子ㅣ 묻더니
[James Legge] The philosopher Tsang being ill, Meng Chang went to ask how he was.
증자가 병환이 심해지자, 노나라의 대부인 맹경자(孟敬子)가 문병(問病)을 왔는데,
[언해] 曾子ㅣ 닐러 샤 새  죽음애 그 우롬이 슬프고 사이  죽음애 그 마리 어디니라
[James Legge] Tsang said to him, “When a bird is about to die, its notes are mournful; when a man is about to die, his words are good.
증자가 말하였다. “새가 죽을 때에는 그 울음소리가 슬프고, 사람이 죽을 때에는 그 말이 착한 법이다.
[언해] 君군子ㅣ 道도애 貴귀히 너기 배 세히니 容貌모를 動욤애 이예 暴포慢만을 멀리며 비츨 正욤애 이예 信신에 갓가오며 辭氣긔를 내욤애 이예 鄙비倍패를 멀리홀띠니 籩변豆두ㅅ 일은 有유司ㅣ 인니라
[James Legge] There are three principles of conduct which the man of high rank should consider specially important:-- that in his deportment and manner he keep from violence and heedlessness; that in regulating his countenance he keep near to sincerity; and that in his words and tones he keep far from lowness and impropriety. As to such matters as attending to the sacrificial vessels, there are the proper officers for them.”
군자(君子)가 귀중히 여기는 도(道)가 세 가지가 있으니, 용모를 움직일 때에는 사나움과 태만함을 멀리하며, 얼굴빛을 바로잡을 때에는 신의에 가깝게 하며, 말을 할 때에는 비루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것을 멀리 해야 한다. 제기(祭器) 등의 자질구레한 일은 담당자가 있으니, 윗사람이 중시할 일이 아니다.”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