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 子[ㅣ] 曰 誦詩三百호 授之以政 不達며 使於四方 不能專對면(면) 雖多ㅣ나 亦奚以爲리오
獨也 詩本人情하고 該物理하여 可以驗風俗之盛衰하고 見政治之得失하며 其言 溫厚和平하여 長於風諭 誦之者 必達於政而能言也니라 ○ 程子曰 窮經 將以致用也 世之誦詩者 果能從政而專對乎 然則其所學者 章句之未耳 學者之大患也니라


[언해] 子ㅣ 샤 詩시 三삼百을 誦호 政으로 授슈홈애 達달티 몯며 四方에 使시홈애 能히 專젼對티 몯면 비록 多다나  므서싀 리오
[James Legge] The Master said, “Though a man may be able to recite the three hundred odes, yet if, when intrusted with a governmental charge, he knows not how to act, or if, when sent to any quarter on a mission, he cannot give his replies unassisted, notwithstanding the extent of his learning, of what practical use is it?”
“《시경(詩經)》 3백편을 외우더라도 정사를 맡겨줌에 제대로 해내지 못하고, 사방(四方)의 나라에 사신(使臣)으로 가서 혼자 처리하지 못한다면, 비록 시를 많이 외운다 한들 무엇에 쓰겠는가.”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