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子張이 問於孔子曰 何如ㅣ라(ㅣ라사) 斯可以從政矣니잇고(리잇고) 子[ㅣ] 曰 尊五美며(고) 屛四惡이면 斯可以從政矣리라 子張[이] 曰 何謂五美니잇고(잇고) 子[ㅣ] 曰 君子ㅣ() 惠而不費며 勞而不怨며 欲而不貪며 泰而不驕며 威而不猛이니라
子張[이] 曰 何謂惠而不費니잇고(잇고) 子[ㅣ] 曰 因民之所利而利之니 斯不亦惠而不費乎아 擇可勞而勞之어니 又誰怨이리오 欲仁而得仁이어니 又焉貪이리오 君子ㅣ() 無衆寡며 無小大히 無敢慢니 斯不亦泰而不驕乎아 君子ㅣ() 正其衣冠하며 尊其瞻視야 儼然人望而畏之니 斯不亦威而不猛乎아
子張[이] 曰 何謂四惡이니잇고 子[ㅣ] 曰 不敎而殺을 謂之虐이오 不戒視成을 謂之暴ㅣ오 慢令致期를 謂之賊이오 猶之與人也ㅣ로(애) 出納之吝을 謂之有司ㅣ니라
注
虐은 謂殘酷不仁이요 暴는 謂卒遽無漸이라 致期는 刻期也라 賊者는 切害之意니 緩於前而急於後하여 以誤其民而必刑之면 是賊害之也라 猶之는 猶言均之也라 均之以物與人이로되 而於其出納之際에 乃或吝而不果면 則是有司之事요 而非爲政之體니 所與雖多나 人亦不懷其惠矣라 項羽使人하여 有功當封이면 刻印刓이로되 忍弗能予라가 卒以取敗하니 亦其驗也니라 ○ 尹氏曰 告問政者多矣로되 未有如此之備者也라 故로 記之하여 以繼帝王之治하니 則夫子之爲政을 可知也니라
[James Legge] Tsze-chang asked Confucius, saying, “In what way should a person in authority act in order that he may conduct government properly?” The Master replied, “Let him honor the five excellent, and banish away the four bad, things;-- then may he conduct government properly.” Tsze-chang said, “What are meant by the five excellent things?” The Master said, “When the person in authority is beneficent without great expenditure; when he lays tasks on the people without their repining; when he pursues what he desires without being covetous; when he maintains a dignified ease without being proud; when he is majestic without being fierce.”
2. 자장(子張)이 공자(孔子)께 물었다. “어떻게 해야 정사(政事)에 종사할 수 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오미(五美)를 높이고 사악(四惡)을 물리치면 정사(政事)에 종사할 수 있다.” 자장(子張)이 말하였다. “무엇을 오미(五美)라 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君子)는 은혜롭되 허비(虛費)하지 않으며, 수고롭게 하되 원망(怨望)하지 않으며, 하고자 하면서도 탐(貪)하지 않으며, 태연하면서도 교만(驕慢)하지 않으며, 위엄이 있으면서도 사납지 않은 것이다.”
[James Legge] Tsze-chang said, “What is meant by being beneficent without great expenditure?” The Master replied, “When the person in authority makes more beneficial to the people the things from which they naturally derive benefit;-- is not this being beneficent without great expenditure? When he chooses the labors which are proper, and makes them labor on them, who will repine? When his desires are set on benevolent government, and he secures it, who will accuse him of covetousness? Whether he has to do with many people or few, or with things great or small, he does not dare to indicate any disrespect;-- is not this to maintain a dignified ease without any pride? He adjusts his clothes and cap, and throws a dignity into his looks, so that, thus dignified, he is looked at with awe;-- is not this to be majestic without being fierce?”
자장(子張)이 말하였다. “무엇을 은혜롭되 허비하지 않는 것이라 합니까?”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백성들이 이롭게 여기는 것을 인하여 그것을 이롭게 해 주니, 이것이 은혜롭되 허비하지 않는 것이 아니겠는가? 수고롭게 할 만한 일을 가려서 수고롭게 하니, 또 누가 원망하겠는가? 인(仁)을 하고자 하여 인을 얻었으니 또 무엇을 탐하겠는가? 군자(君子)는 많거나 적거나 크거나 작거나에 관계없이 감히 오만(傲慢)하게 대함이 없으니, 이것이 태연하면서도 교만하지 않은 것이 아니겠는가? 군자는 의관(衣冠)을 바르게 하며 보기를 공경히 하여 엄숙해서 사람들이 바라보고 두려워하니, 이것이 위엄이 있으면서도 사납지 않은 것이 아니겠는가?”
[James Legge] Tsze-chang then asked, “What are meant by the four bad things?” The Master said, “To put the people to death without having instructed them;-- this is called cruelty. To require from them, suddenly, the full tale of work, without having given them warning;-- this is called oppression. To issue orders as if without urgency, at first, and, when the time comes, to insist on them with severity;-- this is called injury. And, generally, in the giving pay or rewards to men, to do it in a stingy way;-- this is called acting the part of a mere official.”
자장(子張)이 말하였다. “무엇을 사악(四惡)이라 합니까?”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가르치지 않고 죽이는 것을 학(虐)이라 하고, 미리 경계하지 않고 성공(成功)을 요구하는 것을 폭(暴)이라 하고, 명령을 태만히 하고 기일(期日)을 각박하게 지키게 하는 것을 적(賊)이라 하고, 남들과 똑같이 물건을 주면서도 출납할 때에 인색한 것을 유사(有司)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