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2. 陳成子 弑簡公이어(야)
成子 齊大夫 名恒이요 簡公 齊君이니 名壬이니 事在春秋哀公十四年이라
孔子 沐浴而朝샤 告於哀公曰 陳恒 弑其君니 請討之쇼셔
是時 孔子致仕居魯 沐浴齊戒以告君 重其事而不敢忽也 臣弑其君 人倫之大變이라 天理所不容이니 人人得而誅之 況鄰國乎 夫子雖已告老 而猶請哀公討之하시니라
公曰 告夫三子라
三子 三家也 政在三家하여 哀公 不得自專이라 使孔子告之
孔子[ㅣ] 曰 以吾從大夫之後ㅣ라 不敢不告也호니 君曰 告夫三子者ㅣ온여
孔子出而自言如此 意謂弑君之賊 法所必討 大夫謀國하니 義所當告어늘 君乃不能自命三子而使我告之邪
之三子[야]신대 不可ㅣ라여 孔子[ㅣ] 曰 以吾從大夫之後ㅣ라 不敢不告也ㅣ니라(호라)
以君命往告로되 而三子 魯之强臣으로 素有無君之心하여 實與陳氏聲勢相倚 沮其謀한대 而夫子復以此應之하시니 其所以警之者 深矣로다 ○ 程子曰 左氏記孔子之言曰 陳恒 弑其君 民之不予者半이니 以魯之衆으로 加齊之半이면 可克也라하니 此非孔子之言이라 誠若此言이면 以力이요 不以義也 若孔子之志 必將正名其罪하사 上告天子하고 下告方伯하여 而率與國以討之리니 至於所以勝齊者하여는 孔子之餘事也 豈計魯人之衆寡哉 當是時하여 天下之亂 極矣 因是足以正之 周室 其復興乎인저 魯之君臣 終不從之하니 可勝惜哉 胡氏曰 春秋之法 弑君之賊 人得而討之하니 仲尼此擧 先發後聞 可也니라


[James Legge] Chan Ch'ang murdered the duke Chien of Ch'î.
22. 제(齊)나라 대부(大夫)인 진성자(陳成子)가 간공(簡公)을 시해하자,
[James Legge] Confucius bathed, went to court and informed the duke Âi, saying, “Chan Hang has slain his sovereign. I beg that you will undertake to punish him.”
공자께서 목욕재계하고 조정에 나아가 애공(哀公)에게 아뢰셨다. “진항(陳恒)이 임금을 시해하였으니, 토벌하소서.”
[James Legge] The duke said, “Inform the chiefs of the three families of it.”
애공(哀公)이 말하였다. “저 당국자인 삼가(三家)에게 말하라.”
[James Legge] Confucius retired, and said, “Following in the rear of the great officers, I did not dare not to represent such a matter, and my prince says, 'Inform the chiefs of the three families of it.’”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대부(大夫)의 지위에 있었기 때문에 감히 아뢰지 않을 수 없었는데, 임금께서 저 삼가(三家)에게 말하라고 하시는구나!”
[James Legge] He went to the chiefs, and informed them, but they would not act. Confucius then said, “Following in the rear of the great officers, I did not dare not to represent such a matter.”
삼가(三家)에게 가서 말씀하셨으나 통하지 않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를 대부(大夫)의 뒤를 따르게 했기 때문에 감히 말하지 않을 수 없었다.”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