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0. 子貢 問曰 何如ㅣ라(ㅣ라아) 斯可謂之士矣잇고(리잇고)[ㅣ] 曰 行己有恥며 使於四方야(애) 不辱君命이면 可謂士矣니라
其志有所不爲하고 而其材足以有爲者也 子貢能言이라 以使事告之하시니 蓋爲使之難 不獨貴於能言而已니라
曰 敢問其次노이다 曰 宗族 稱孝焉며 鄕黨 稱弟焉이니라
本立而材不足者 爲其次
曰 敢問其次노이다 曰 言必信며 行必果ㅣ(면) 硜硜然小人哉 抑亦可以爲次矣니라
必行也 小石之堅確者 小人 言其識量之淺狹也 其本末 皆無足觀이나이나 亦不害其爲自守也 聖人 猶有取焉이요 下此則市井之人이니 不復可爲士矣니라
曰 今之從政者 何如니잇고[ㅣ] 曰 噫 斗筲之人 何足算也ㅣ리오
今之從政者 蓋如魯三家之屬이라 心不平聲이라 量名이니 容十升이요 竹器 容斗二升이니 斗筲之人 言鄙細也 數也 子貢之問 每下 夫子以是警之하시니라 ○ 程子曰 子貢之意 蓋欲爲皎皎之行하여 聞於人者 夫子告之 皆篤實自得之事니라


[언해] 子貢이 묻子와 오 엇더야 이에 可가히 士ㅣ라 닐리잇고 子ㅣ 샤 己긔를 行홈이 恥티 이시며 四方에 使시야 君군命을 辱디 아니면 可가히 士ㅣ라 니띠니라
[James Legge] Tsze-kung asked, saying, “What qualities must a man possess to entitle him to be called an officer? The Master said, “He who in his conduct of himself maintains a sense of shame, and when sent to any quarter will not disgrace his prince's commission, deserves to be called an officer.”
자공(子貢)이 물었다. “어떠하여야 선비라 할 수 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몸가짐에 염치가 있으며, 사방(四方)에 사신(使臣)으로 가서 임금의 명(命)을 욕되게 하지 않으면 선비라 할 수 있다.”
[James Legge] Tsze-kung pursued, “I venture to ask who may be placed in the next lower rank?” And he was told, “He whom the circle of his relatives pronounce to be filial, whom his fellow villagers and neighbors pronounce to be fraternal.”
“감히 그 다음을 묻겠습니다.” “종족(宗族)들이 효성(孝誠)스럽다고 칭찬하고 지방(地方)에서 공손(恭遜)하다고 칭찬하는 인물이다.”
[James Legge] Again the disciple asked, “I venture to ask about the class still next in order.” The Master said, “They are determined to be sincere in what they say, and to carry out what they do. They are obstinate little men. Yet perhaps they may make the next class.”
“감히 그 다음을 묻겠습니다.” “말을 반드시 미덥게 하고 행실(行實)을 반드시 과단성(果斷性) 있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이 도량이 좁은 소인(小人)이기는 하나 그래도 또한 그 다음이 될 수 있다.”
[James Legge] Tsze-kung finally inquired, “Of what sort are those of the present day, who engage in government?” The Master said “Pooh! they are so many pecks and hampers, not worth being taken into account.”
“지금 정사(政事)에 종사하는 자들은 어떻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 그런 비루하고 자잘한 사람들을 어찌 따질 것이 있겠는가?”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