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司馬牛ㅣ 問君子대 子[ㅣ] 曰 君子 不憂不懼ㅣ니라
注
向魋作亂하니 牛常憂懼라 故로 夫子告之以此하시니라
曰 不憂不懼ㅣ면() 斯謂之君子矣乎잇가(ㅣ잇가) 子[ㅣ] 曰 內省不疚ㅣ어니 夫何憂何懼ㅣ리오
注
牛之再問은 猶前章之意라 故로 復告之以此하시니라 疚는 病也라 言由其平日所爲 無愧於心이라 故로 能內省不疚하여 而自無憂懼니 未可遽以爲易而忽之也라 ○ 晁氏曰 不憂不懼는 由乎德全而無疵라 故로 無入而不自得이요 非實有憂懼而强排遣之也니라
사마우(司馬牛)가 군자(君子)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君子)는 근심하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는다.”
[언해] 司馬마牛우ㅣ 君군子를 묻온대 子ㅣ샤 君군子 憂우티 아니며 懼구티 아니니라
[James Legge] Sze-mâ Niû asked about the superior man. The Master said, “The superior man has neither anxiety nor fear.”
사마우(司馬牛)가 말하였다. “근심하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으면 군자(君子)라 이를 수 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으로 살펴보아 잘못됨이 없으니, 무엇을 근심하고 무엇을 두려워하겠는가?”
[언해] 오 憂우티 아니며 懼구티 아니면 이 君군子ㅣ라 닐으리잇가 子ㅣ 샤 內로 省야 疚구티 아니거니 므슴 憂우며 므슴 懼구리오
[James Legge] “Being without anxiety or fear!” said Niû;-- “Does this constitute what we call the superior man? The Master said, “When internal examination discovers nothing wrong, what is there to be anxious about, what is there to f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