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 曾子[ㅣ] 曰 以能[으로] 問於不能며 以多[로] 問於寡며 有若無며 實若虛며 犯而不校를() 昔者吾友 嘗從事於斯矣러니라
計校也 馬氏以爲顔淵이라하니 是也 顔子之心 惟知義理之無窮하고 不見物我之有間이라 能如此하시니라 ○ 謝氏曰 不知有餘在己, 不足在人하며 不必得爲在己, 失爲在人하여 非幾於無我者 不能也니라


[언해] 曾子ㅣ 샤 能으로 不블能애 무르며 多다로 寡과애 무르며 이슈 업슨 며 實실호 虛허 며 犯범야도 校교티 아니홈을 녜 내 버디 일쯕 이예 從事더니라
[James Legge] The philosopher Tsang said, “Gifted with ability, and yet putting questions to those who were not so; possessed of much, and yet putting questions to those possessed of little; having, as though he had not; full, and yet counting himself as empty; offended against, and yet entering into no altercation; formerly I had a friend who pursued this style of conduct.”
증자(曾子)가 말하였다. “능하면서 능하지 못한 이에게 물으며, 많이 알면서 적게 아는 이에게 물으며, 있어도 없는 것처럼 하고, 가득해도 빈 것처럼 하며, 남이 잘못을 범해도 따지지 않는 것을, 옛날에 나의 벗 안연(顔淵)이 일찍이 이런 일을 실천했었다.”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