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子貢[ㅣ] 曰 貧而無諂며 富而無驕호(ㅣ) 何如니잇고 子[ㅣ] 曰 可也ㅣ나 未若貧而樂며 富而好禮者也ㅣ니라
注
諂은 卑屈也요 驕는 矜肆也라 常人은 溺於貧富之中하여 而不知所以自守라 故로 必有二者之病이라 無諂無驕면 則知自守矣나 而未能超乎貧富之外也라 凡曰可者는 僅可而有所未盡之辭也라 樂則心廣體胖하여 而忘其貧이요 好禮則安處善하고 樂循理하여 亦不自知其富矣리라 子貢이 貨殖하니 蓋先貧後富하여 而嘗用力於自守者라 故로 以此爲問에 而夫子答之如此하시니 蓋許其所已能이요 而勉其所未至也시니라
子貢[ㅣ] 曰 詩云 如切如磋며 如琢如磨ㅣ라니 其斯之謂與뎌
注
詩는 衛風淇奧之篇이라 言治骨角者는 旣切之而復磋之하고 治玉石者는 旣琢之而復磨之하니 治之已精而益求其精也라 子貢이 自以無諂無驕爲至矣러니 聞夫子之言하고 又知義理之無窮하여 雖有得焉이나 而未可遽自足也라 故로 引是詩以明之하니라
子[ㅣ] 曰 賜也 始可與言詩已矣로다 告諸往而知來者ㅣ온여
注
往者는 其所已言者요 來者는 其所未言者라 ○ 愚按 此章問答은 其淺深高下 固不待辯說而明矣라 然이나 不切則磋無所施요 不琢則磨無所措라 故로 學者雖不可安於小成而不求造道之極致나 亦不可騖於虛遠而不察切己之實病也니라
[James Legge] Tsze-kung said, “What do you pronounce concerning the poor man who yet does not flatter, and the rich man who is not proud?” The Master replied, “They will do; but they are not equal to him, who, though poor, is yet cheerful, and to him, who, though rich, loves the rules of propriety.”
[언해] 子貢이 오 貧빈야도 諂텸홈이 업스며 富부야도 驕교홈이 업소 엇더잇고 子ㅣ 샤 可가나 貧빈고 樂락며 富부고 禮례를 好호 者쟈만 디 몯니라
자공(子貢)이 물었다. “가난하지만 아첨함이 없으며, 부유하지만 교만함이 없으면 어떻습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괜찮으나, 가난하면서도 즐거워하며, 부유하면서도 예(禮)를 좋아하는 것만 못하다.”
[James Legge] Tsze-kung replied,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As you cut and then file, as you carve and then polish.’ -- The meaning is the same, I apprehend, as that which you have just expressed.”
[언해] 子貢이 오 詩시예 닐오 切졀고 磋차며 琢탁고 磨마다 니 그 이 닐옴인뎌
자공이 말하였다. “《시경(詩經)》 〈위풍(衛風) 기욱편(淇奧篇)〉에 ‘절단한 뒤에 다시 그것을 간 듯하며, 쪼은 뒤에 다시 그것을 간 듯하다.’ 하였으니, 이것을 말하는 것입니까?”
[James Legge] The Master said, “With one like Ts'ze, I can begin to talk about the odes. I told him one point, and he knew its proper sequence.”
[언해] 子ㅣ 샤 賜 비로소 可가히 더브러 詩시를 니리로다 往을 告고홈애 來者쟈를 알오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賜, 자공)와는 이제 시(詩)를 말할 만하구나. 이미 지나간 것을 말해 주자, 앞으로 말해 줄 것까지 아는구나.”
1
15. 자공왈 빈이무 …
380
2
15. 자공왈 빈이무 …
139
3
15. 자공왈 빈이무 …
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