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8. 子[ㅣ] 曰 譬如爲山 未成一簣야(나) 吾止也ㅣ며 譬如平地 雖覆一簣 吾往也ㅣ니라
土籠也 書曰 爲山九仞 功虧一簣라하니 夫子之言 蓋出於此 言 山成而但少一簣하여 其止者 吾自止耳 平地而方覆一簣 其進者 吾自往耳 蓋學者自强不息이면 則積少成多하고 中道而止 則前功盡棄 其止其往 皆在我而不在人也니라


[언해] 子ㅣ 샤 譬비컨댄 뫼흘 롬애  簣궤를 일오디 몯야셔 그침도 내의 그침이  며 譬비컨댄 平地디예 비록  簣궤를 覆복나 나아감도 내의 감 니라
[James Legge] The Master said, “The prosecution of learning may be compared to what may happen in raising a mound. If there want but one basket of earth to complete the work, and I stop, the stopping is my own work. It may be compared to throwing down the earth on the level ground. Though but one basketful is thrown at a time, the advancing with it is my own going forward.”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학문(學問)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산(山)을 쌓는 것과 같으니, 산을 쌓을 때에 마지막 흙 한 삼태기를 쏟아 붓지 않아, 산을 완성시키지 못하고 그만 두는 것도 내가 그만 두는 것이요. 학문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땅을 고르는 것과 같으니, 땅을 고를 때에 흙 한 삼태기를 쏟아 부어 시작하는 것도 내가 나아가는 것이다.”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