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 克伐怨欲 不行焉이면 可以爲仁矣잇가
此亦原憲以其所能而問也 好勝이요 自矜이요 忿恨이요 貪欲이라
[ㅣ] 曰 可以爲難矣어니와 仁則吾不知也케라
有是四者而能制之하여 使不得行이면 可謂難矣 仁則天理渾然하여 自無四者之累하니 不行 不足以言之也 ○ 程子曰 人而無克伐怨欲 惟仁者能之 有之而能制其情하여 使不行이면 斯亦難能也 謂之仁則未也 此聖人開示之深이어늘 惜乎 憲之不能再問也 或曰 四者不行 固不得爲仁矣이나 亦豈非所謂克己之事, 求仁之方乎잇가 曰 克去己私하여 以復乎禮 則私欲不留하여 而天理之本然者 得矣어니와 若但制而不行이면 則是未有拔去病根之意하여 而容其潛藏隱伏於胸中也 豈克己求仁之謂哉 學者察於二者之間이면 則其所以求仁之功 益親切而無滲漏矣리라


[James Legge] “When the love of superiority, boasting, resentments, and covetousness are repressed, this may be deemed perfect virtue.”
2. 원헌이 묻기를 “이기려 하고, 자랑하고, 원망하고, 욕심내는 일을 행하지 않으면 인(仁)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 하자,
[James Legge] The Master said, “This may be regarded as the achievement of what is difficult. But I do not know that it is to be deemed perfect virtue.”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렵다고 할 수는 있으나 인(仁)인지는 내 알지 못하겠다.”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