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 子[ㅣ] 曰 詩三百 一言以蔽之니(니) 曰 思無邪ㅣ니라
三百十一篇이니 言三百者 擧大數也 猶蓋也 思無邪 魯頌駉篇之辭 凡詩之言 善者 可以感發人之善心하고 惡者 可以懲創人之逸志하니 其用 歸於使人得其情性之正而已이나 其言微婉하고 且或各因一事而發하여 求其直指全體하면 則未有若此之明且盡者 夫子言 詩三百篇 而惟此一言 足以盡蓋其義라하시니 其示人之意 亦深切矣로다 ○ 程子曰 思無邪者 誠也니라 范氏曰 學者 必務知要 知要則能守約이요 守約則足以盡博矣 經禮三百 曲禮三千 亦可以一言以蔽之하니 曰 毋不敬이니라


[James Legge] The Master said, “In the Book of Poetry are three hundred pieces, but the design of them all may be embraced in one sentence -- ‘Having no depraved thoughts.’”
[언해] 子ㅣ 샤 詩시ㅣ 三삼百애  말이  蔽폐야시니 온 思ㅣ 邪샤 업이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시경(詩經)》 ‘3백 편(篇)’의 뜻을 한마디 말로 요약할 수 있으니, ‘생각에 간사함이 없다.’는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2. 자왈 시삼백을… 362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