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1)

전국책(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 覆軍殺將得八城, 移兵而攻齊.
爲齊王使, 見昭陽, 再拜賀戰勝, 起而問.
“楚之法, 覆軍殺將, 其官爵何也?”
昭陽曰:
“官爲, 爵爲.”
陳軫曰:
“異貴於此者何也?”
曰:
“唯耳.”
陳軫曰:
“令尹貴矣!
王非置兩令尹也, 臣竊爲公譬可也.
楚有祠者, 賜其舍人巵酒. 舍人相謂曰:數人飮之不足, 一人飮之有餘. 請畫地爲蛇, 先成者飮酒.
一人蛇先成, 引酒且飮之, 乃左手持巵, 右手畫蛇, 曰:吾能爲之足.
未成, 一人之蛇成, 奪其巵曰:蛇固無足,
子安能爲之足? 遂飮其酒. 爲蛇足者, 終亡其酒.
今君相楚而攻魏, 破軍殺將得八城,
不弱兵, 欲攻齊, 齊畏公甚, 公以是爲名足矣, 官之上非可重也.
戰無不勝而不知止者, 身且死, 爵且後歸, 猶爲蛇足也.”
昭陽以爲然, 解軍而去.


소양昭陽를 위하여 를 치다
소양昭陽나라를 위하여 나라를 쳐 그 군대를 뒤엎고 장수를 죽여 8개 을 얻고는 군대를 옮겨 나라를 공격하였다.
그러자 진진陳軫제왕齊王사자使者가 되어 소양을 만나 재배하며 전승戰勝을 축하하고는 일어나 물었다.
“초나라의 법으로는 이렇게 파군살장破軍殺將의 큰 승리일 경우 어떤 관작官爵을 줍니까?”
소양이 말하였다.
상주국上柱國을 주고, 상집규上執珪가 됩니다.”
진진이 말하였다.
“그보다 더 높은 것은 무엇입니까?”
소양이 말하였다.
“오직 영윤令尹이 있을 뿐이오.”
진진이 말하였다.
“영윤은 아주 귀한 자리이군요.
왕께서 두 명의 영윤을 둘 수 없을 것이니, 제가 그대를 위해 비유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나라에 어떤 제사를 지낸 사람이 그 사인舍人들에게 술 한 병을 내려 주자, 사인들이 서로 의논하기를 ‘여럿이 마시면 부족하고 혼자 마시면 남을 것이니, 청하건대 땅에 뱀을 그려 먼저 완성하는 자가 마시기로 하자’라고 하였습니다.
그 중 어떤 사람이 뱀을 먼저 그리고는, 술잔을 끌어당겨 마시려다가 왼손으로 술잔을 들고 오른손으로 뱀을 그리면서 ‘나는 뱀의 다리까지도 그릴 수가 있다’라고 하였습니다.
아직 다리를 다 그리지 못하였을 때, 그 다음 한 사람이 뱀을 다 그리고는 술잔을 빼앗으면서 ‘뱀은 본래 다리가 없다.
그대는 어찌 발까지 그렸는가?’하고는 마침내 그 술을 마셔 버려 결국 사족蛇足을 그린 자는 그 술을 마시지 못하고 말았습니다.
지금 그대가 초나라의 재상으로서 위나라를 공격하여 파군살장破軍殺將하여 8개 성을 빼앗았습니다.
그렇게 하고도 그 병력이 약해지지도 않았으며, 제나라를 치고자 하여 제나라가 그대를 매우 두려워하고 있으니, 공께서는 이 정도로 만족하게 여기셔야 하며, 더 이상 올라갈 관직도 없습니다.
이기지 못하는 싸움이 없으면서 그칠 줄 모르는 자는 몸은 죽고 관직도 뒷사람에게 빼앗기는 법이니, 이게 바로 사족蛇足을 그린 자와 같은 것입니다.”
소양昭陽은 그렇게 여겨 군대를 풀고 철수해 버렸다.


역주
역주1 131. 昭陽爲楚伐魏 : 널리 알려진 故事成語 蛇足(畫蛇添足)의 出典이 이 장인데, 《史記》에는 〈楚世家〉에 실려 있으며 발생시기는 대략 B.C.323년쯤이다. 400장 참조.
역주2 昭陽 : 楚의 公族大夫. 軍功으로 上柱國이 되었고, 懷王 때 相이 되었다.
역주3 楚伐魏 : 周 顯王 46년(B.C.323) 때의 일. 楚 懷王이 昭陽을 시켜 魏나라의 襄陵을 공격하여 8개의 邑을 취하였다.
역주4 陳軫 : 春秋時代 陳國의 후손. 뛰어난 유세객으로 처음 秦나라를 섬겼는데, 당시 秦나라의 사자로 齊나라에 왔다가 이 소식을 듣고 昭陽을 軍中에서 만나 담판하였다. 뒤에 楚나라에서 벼슬하여 재상이 되었으며 潁川侯에 봉해졌다.
역주5 上柱國 : 전국시대 楚나라 관직명. 破軍殺將한 장수에게 이 관직을 주었다. 지위는 令尹 다음.
역주6 上執珪 : 楚나라 최고의 官爵. 공이 가장 크거나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주었다. 珪는 조회나 의식에 잡는 笏의 일종.
역주7 令尹 : 楚나라의 최고 관직명. 다른 나라의 相에 해당함.
역주8 [居] : 衍文으로 보인다.

전국책(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