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戰國策(2)

전국책(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전국책(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齊欲攻宋, 秦令禁之.
齊乃捄趙以伐宋.
秦王怒, 屬怨於趙.
, 無功, 留天下之兵於, 而陰構於秦.
又欲與秦攻魏, 以解其怨而取封焉. 魏王不說.
之齊, 謂齊王曰:
“臣爲足下謂魏王曰:
『三晉皆有秦患. 今之攻秦也, 爲趙也.
五國伐趙, 趙必亡矣.
秦逐李兌, 李兌必死. 今之伐秦也, 以救李子之死也.
今趙留天下之甲於成皐, 而陰鬻之於秦,
已講, 則令秦攻魏以成其私封.
王之事趙也何得矣?
且王嘗濟於漳, 而身朝於邯鄲, 抱, 負, 以爲趙蔽, 而趙無爲王行也.
今又以封其子, 而乃令秦攻王, 以便取陰.
人比然而後,
如王若用所以事趙之半收齊, 天下有敢謀王者乎?
王之事齊也, 無入朝之辱, 無割地之費.
齊爲王之故, 虛國於燕‧趙之前, 用兵於二千里之外,
故攻城野戰, 未嘗不爲王先被矢石也. 得, 割河東, 盡效之於王.
自是之後, 秦攻魏, 齊甲未嘗不歲至於王之境也.
請問王之所以報齊者可乎?
處於趙, 去齊三千里, 王以此疑齊, 曰有秦陰.
今王又挾故以爲相, 善以爲上交, 尊以爲大客, 王固可以反疑齊乎?』
於魏王聽此言也甚詘, 其欲事王也甚循. 其怨於趙.
臣願王之聞魏而無庸見惡也.
臣請爲王推其怨於趙,
願王之陰重趙, 而無使秦之重趙也.
秦見之且亦重趙.
齊‧秦交重趙, 臣必見燕與韓‧魏亦且重趙也, 皆且無敢與趙治.
五國事趙, 趙從親以合於秦, 必爲王高矣.
臣故欲王之劫天下, 而皆私甘之也.
王使臣以韓‧魏與燕劫趙, 使也甘之; 以趙劫韓‧魏, 使臣也甘之; 以三晉劫秦, 使也甘之; 以天下劫楚, 使呡也甘之.
則天下皆偪秦以事王, 而不敢相私也.
交定, 然後王擇焉.”


270. 나라가 나라를 공격하려 하다
나라가 나라를 공격하려 하자 나라가 기가起賈를 보내어 이를 제지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나라는 이에 나라를 끌어들여 송나라를 쳤다.
진왕秦王(소왕昭王)은 노하여 원한을 조나라에게 돌렸다.
〈조나라의 재상〉 이태李兌가 다섯 나라와 맹약을 맺고, 진나라를 쳤지만 공을 거두지 못하자 천하의 병사를 성고成皐에 머무르게 한 채 진나라와 몰래 협약을 맺었다.
그리고 다시 진나라와 함께 나라를 쳐서 그 원한도 풀어 줄 겸 스스로의 봉지封地도 취하려고 하니, 위왕魏王(소왕昭王)이 불쾌히 여겼다.
〈이때 어떤 이가〉 제나라로 가서 제왕齊王(민왕湣王)에게 말하였다.
“제가 족하足下를 위하여 위왕魏王에게 이렇게 말하겠습니다.
삼진三晉이 모두 나라로부터 고통을 받고 있는데, 지금 진나라를 공격하는 것은 조나라를 위해서입니다.
다섯 나라가 조나라를 치면 조나라는 반드시 망하게 되겠지요.
또 진나라가 이태를 축출해 버리면 이태는 틀림없이 죽고 말 것이니, 지금 진나라를 치는 것은 바로 이태를 죽음에서 구해 주는 일입니다.
지금 조나라가 천하의 군대를 모아 성고에 주둔시켜 놓고는 몰래 진나라에게 천하를 팔아먹고 있습니다.
그래서 강화가 이루어지면 진나라로 하여금 귀국 위나라를 치게 하고, 이태 자신은 사사로이 봉지를 얻게 될 것입니다.
이런데도 왕께서 조나라를 받들어 섬겨서 무엇을 얻겠습니까?
게다가 왕께서는 일찍이 장수漳水를 건너 몸소 한단邯鄲까지 가서 〈조나라 왕을〉 조현朝見하여 음성陰成 땅을 안고, 갈벽葛薜까지 짊어져다 주면서 조나라의 울타리가 되어 주겠다고 하셨지만 조나라는 대왕을 위해 어떤 보답도 없었습니다.
지금 다시 이태는 하양河陽고밀姑密은 자기 아들에게 봉지로 주고, 진나라로 하여금 왕을 치게 한 다음, 음성陰成 땅을 가지려 하고 있습니다.
사람은 비교를 해본 연후에야 어짊과 불초함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이를테면 왕께서 만약 조나라를 섬기는 반만의 정성으로 제나라를 섬기시면 천하에 그 누가 감히 왕을 도모하려는 자가 있겠습니까?
왕께서 제나라를 섬기면 입조入朝해야 하는 모욕도 없고, 땅을 떼어 주어야 하는 낭비도 없습니다.
제나라에서는 왕을 위하여 나라와 나라의 앞에서 나라가 허술해지는 위험을 무릅쓰고 2천 리 밖까지도 군대를 보낼 것입니다.
그러므로 공성야전攻城野戰에서 왕을 위하여 누구보다 먼저 시석矢石을 뒤집어 쓸 것이며 두 땅을 얻은 다음, 하동河東을 떼어 모두 왕께 바칠 것입니다.
이후부터는 진나라가 위나라를 공격하게 되면 그 군사들이 1년이 못되어 국경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청하여 여쭙건대 대왕께서는 무엇으로 제나라에 보답하겠습니까?
〈제나라 사람〉 한문韓呡(한민韓珉)이 조나라에 가 있고, 제나라와의 거리가 3천 리나 멀므로 왕께서는 제나라를 의심하면서 오히려 진나라와 무슨 약속이 되어 있는 것으로 여기십니다.
지금 왕께서는 제나라 사람 설공薛公(전문田文)을 전처럼 귀국 재상으로 삼으셨으며, 한서韓徐를 훌륭하다 여겨 외교관으로 쓰고 계시고, 우상虞商을 존경하여 큰 객경客卿으로 모시고 있는데 그래도 왕께서는 제나라에 반감을 갖거나 의심할 거리가 있습니까?’
이렇게 말하면 위왕은 이 말을 듣고 심히 할 말이 없어 왕을 섬기겠다고 잘 따를 것이며 조나라를 원망할 것입니다.
저는 원하옵건대, 왕께서는 날마다 나라와의 좋지 않은 소식을 듣더라도 미움을 나타내지 마십시오.
그리고 청컨대 왕을 위하여 위나라로 하여금 그 원망을 조나라로 옮기겠습니다.
그리고는 이번에는 왕께서 몰래 조나라를 높여 주되 진나라로 하여금 왕께서 조나라를 높여 주는 일을 알지 못하도록 하길 원하옵니다.
진나라가 이를 알면 그들도 조나라를 높여 주게 됩니다.
제나라와 진나라가 함께 조나라와 국교를 맺어 조나라를 높여주면 저는 반드시 세 나라 역시 장차 조나라를 높여 주는 모습을 보게 되리라 여기며, 그렇게 되면 모두가 더 이상 조나라와 비교가 되지 않게 됩니다.
다섯 나라가 조나라를 받들게 되면, 조나라는 종친從親을 바탕으로 진나라와 연합하게 되어 틀림없이 대왕보다 높아지게 될 것입니다.
저는 그때에 왕께서 천하에 두루 위세를 부리면서 사사로이 좋은 말로 제후들을 설득시켜야 한다고 여깁니다.
왕께서는 다시 저로 하여금 한나라‧위나라와 연나라를 묶어 조나라를 위협하게 하고, 공옥公玉 으로 하여금 좋은 말로 나라를 달래게 하여 조나라로서 한나라와 위나라를 위협하고, 저를 한나라와 위나라에 보내어 좋은 말로 달래어 삼진三晉이 연합하여 나라를 위협하고, 나라에 보내 좋은 말로 달래어 천하 제후들과 함께 나라를 겁주고, 한민韓珉나라에 보내어 좋은 말로 달래게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천하가 모두 진나라를 누르고 왕을 섬기게 될 것이므로 더 이상 사사로운 생각은 감히 갖지 못할 것입니다.
외교가 안정된 연후에 대왕께서는 〈필요에 따라〉 마음대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역주
역주1 : 이 일은 B.C.288년의 成皐之戰의 일부로 보이며, 내용 중 일부는 의미가 順通하지 못하다. 271‧272‧381장 참고.
역주2 起賈 : 秦나라 신하.
역주3 李兌約五國以伐秦 : 李兌는 趙의 재상. 五國은 趙‧楚‧韓‧魏‧齊.
역주4 成皐 : 韓나라 땅 이름.
역주5 陰成 : 땅 이름. 陰 땅은 《戰國策》에 흔히 보이나 일반 史書에는 모두 陶로 되어 있다. 陶는 宋나라 땅으로 지금의 山東省 曹縣 북쪽.
역주6 蒿‧葛薜 : 모두 地名. 葛薜은 지금의 河北省 肥鄕縣 서남, 薜은 薛로 보기도 한다.
역주7 何(河)陽 : 何陽은 河陽의 誤記로 즉 河雍. 지금의 河南省 孟縣 서남.
역주8 姑密 : 河陽 부근으로 모두 魏地.
역주9 如(知)賢不 : 원문 ‘如’를 鮑彪本에 의하여 ‘知’로 고쳤다.
역주10 二都 : 河外의 두 땅을 일컫는 듯하다.
역주11 韓呡 : 韓岷(韓珉)으로 표기되기도 하며, 원래 韓나라 사람으로 齊와 秦에 친하여 田文과 不和하였다. 094‧272장 참조.
역주12 薛公 : 田文, 孟嘗君. 당시 齊의 湣王과 사이가 벌어져 魏나라로 도망해 魏나라 재상이 되었다.
역주13 韓徐 : 趙나라 장수. 321장 참조.
역주14 虞商 : 齊나라 신하로 뒤에 魏나라로 왔다.
역주15 曰(日) : 원문 ‘曰’은 ‘日’의 誤字.
역주16 : 公玉 丹.
역주17 : 齊나라 公子. 073‧459장 참조.

전국책(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